[아시아경제 김대섭 기자] 제19대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가 5일 실시되고 있는 가운데 후보들의 '일자리 창출' 공약이 승패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청년실업난 해법으로 벤처ㆍ중소기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의 중요성이 커진 가운데 젊은층의 투표 참여 의지까지 높아졌기 때문이다.
젊은층의 큰 관심사인 일자리 창출을 성공적으로 이뤄낼 것으로 예상되는 후보는 누굴까. 각 대선 후보들의 일자리 창출 공약에 대한 젊은층의 평가는 4일과 5일 사전투표와 9일 본선투표에서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각 대선캠프 등에 따르면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공공부문 일자리 81만개 창출', '청년의무고용할당제', '청년구직촉진수당 도입' 등의 공약을 제시했다. 특히 '중소기업 2+1 임금지원'도 공약했다. 정규직 2명 채용 후 3번째 채용자 임금을 정부가 3년간 전액 지원하는 내용이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선 후보는 '청년일자리 뉴딜정책 110만개', '일자리창출 기업 조세감면 확대', '취업성공패키지 대폭확대' 등을 공약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는 신성장산업, 첨단수출 중소기업 육성해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약속했다. 중소기업에 취업하는 청년 중 매년 10만명에게 2년간 매달 50만원씩 급여를 지원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유승민 바른정당 대선 후보는 '혁신 중소기업, 혁신 창업 200만개'를 공약으로 발표했다. 상생 일자리기금 조성 등 대중소기업간 청년 일자리 격차 해소도 공약했다.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는 '공공부문 100만개', '300인 이상 청년의무고용할당제 24만개' 등을 공약으로 제시했다. 청년 실업자에게 정부가 1년간 최저임금의 절반을 주는 청년 실업부조를 시행하겠다고 발표했다.
경제 전문가들은 중소기업 중심의 경제정책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윤재 숭실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중소기업도 정부가 보다 관심을 기울이면 청년과 장년에게 충분히 좋은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한국중소기업학회장)는 "새로운 정부가 중소기업 중심의 경제정책을 제대로 추진해 현재 한국 경제 위기를 넘어 발전과 도약의 전환점을 만들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대섭 기자 joas1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