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C";$title="문재인";$txt="";$size="510,454,0";$no="201704271450591552850A_1.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아시아경제 홍유라 기자]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28일 마을 공동부엌 확대와 공공임대주택 형태 다양화, 아르바이트 임금체불의 국가 지급 등을 골자로 하는 '청년 1인 가구 정책'을 발표했다.
문 후보는 이날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글을 게재해 "국가가 혼자 사는 청년의 가족이 되겠다"며 이 같은 공약을 공개했다.
문 후보는 "'혼밥(혼자 먹는 밥)'이 '함께밥(함께 먹는 밥)'이 되도록 하겠다"며 1인 가구 밀집지역에 '마을 공동부엌'을 확대하겠다고 했다. 그는 ""혼자 사는 청년의 반이 세끼 모두를 혼밥으로 해결하고 있다"며 "혼밥은 외롭기만 한 것이 아니라 불균형한 식사로 이어져 청년의 건강을 해친다"고 지적했다.
청년 1인 가구의 주거부담을 해결하기 위해선 공공임대주택 자격 요건 완화와 주거자금 대출 확대, 사회임대주택 공급 등을 내놨다.
문 후보는 "현재 4인 가구 중심의 공공임대주택 입주 자격을 동거, 비혼, 여성 등 다양한 형태로 확대하겠다"며 "30세 이하 단독세대주에 대한 민간금융 주거자금 대출도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문 후보는 "아르바이트 청년이 사업주로부터 소액 임금체불을 당했을 경우 최저임금의 120% 범위 안에서 국가가 임금보장기금을 통해 먼저 체불임금을 지급하고 사용자를 상대로 구상 청구권을 행사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밖에 ▲편의점 판매 도시락의 식품안전기준 강화 ▲여성안심주택·홈 방범서비스 확대 ▲안심택배함제도 확대 ▲저용량 종량쓰레기봉투 판매 ▲신선과일·야채·육류 등에 대한 소포장 제품 판매 유도 등이 이날 정책에 담겼다.
문 후보는 "청년의 행복한 오늘이 국가의 미래를 보장한다"며 "청년의 활력 있는 오늘이 국가의 경쟁력이다. 우리의 미래이자 경쟁력인 청년에게 힘이 되는 국가, 혼자 사는 청년들에게 가족이 되는 국가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홍유라 기자 vandi@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홍유라 기자 vandi@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