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나주석 기자]1987년 대통령 직선제가 시작된 이후 처음으로 화창한 날씨의 봄철에 대통령 선거가 치러지면서 '봄바람'을 타는 선거 풍경도 많이 달라졌다. 후보들의 동선이나 정책도 계절의 여왕인 봄을 겨냥해 '맞춤형'으로 이뤄지는 양상이다.
지난 대선 후보자들의 정책 공약은 가을과 초겨울에 몰린 연휴와 기념일에 영향을 받았다. 추석 민심은 대선 판도를 파악하는 시금석 역할을 했다.국군의날(10월1일), 경찰의 날(10월21일), 독도의날(10월25일), 농업인의날(11월11일) 등의 기념일에는 매번 대선 후보들마다 관련 공약들을 쏟아냈다. 가령 지켜지지 않았지만, 검경 수사권 조정 약속이 후보별 대통령 공약의 한 켠을 자치했던 것도 '경찰의날' 영향이 컸다.
하지만 5월에 치러지는 '장미대선'때문에 각 당의 대선 후보마다 맞춤형 공약을 달리했다. 봄철 시민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미세먼지 문제가 주요 공약으로 떠오른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과거 대선에서 큰 관심사가 되지 못했던 황사, 미세먼지 등 계절요인이 작용한 환경오염 화두가 유권자의 표심을 사로잡는 핵심공약이 됐다. 심지어 대선주자 마다 미세먼지 문제를 '안보차원'에서 다루겠다고 호언장담하는 실정이다. 미세문제에 대해고등어나 삼겹살 탓을 하던 정부 차원의 대책과 달리 중국에 문제 해결을 직접 요구하겠다는 목소리도 쏟아졌다.
20일에는 '장애인의 날'을 맞아 정치권에서 장애인 공약들을 동시에 선보였다. 주요 대선주자들은 장애인들의 숙원이었던 '장애등급제'와 '부양의무자기준' 폐지를 약속했다. 장애인 관련 수당이나 복지혜택 등을 담은 정책도 각 정당마다 경쟁적으로 발표했다. '가정의 달'인 5월을 앞두고 어린이, 부모, 노인, 결손가정 등 가족과 관련한 공약들도 대거 쏟아질 전망이다. 5월에 선거가 치러지는 덕에 공약의 우선 순위도 영향을 받는 셈이다.
유세장 풍경도 사뭇 달라졌다. 추운 날씨에 종종걸음을 치던 지지자들도 이번 대선에는 화창한 날씨 덕분에 나들이 나온 기분으로 유세를 지켜볼 수 있다. 선거운동원들의 복장도 한결 가벼워졌다. 정치권에서는 '어린이날' 등 황금연휴가 시작되는 5월초에는 대선주자들이 유원지에서 집중유세를 펼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고 있다. 어린이날 '에버랜드 대첩' 등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투표율과 날씨의 상관관계도 달라졌다. 종전 겨울 대선의 경우 투표 당일 '얼마나 추운가'가 투표율의 관건이었다면 이번 봄 대선은 얼마나 '날씨가 화창한가'가 변수가 될 전망이다. 날씨가 좋으면 나들이 등으로 투표율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5월 대선은 앞으로 개헌, 탄핵 등 정치 격변이 없다면 기대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현행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20대 대통령은 개나리가 피기 시작하는 2022년 3월 초 시행된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