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치솟는 전세가 때문에 인해 탈(脫)서울 현상이 심화되면서 수도권 순유입인구가 1970년 이후 처음으로 순유출로 전환됐다.
통계청은 19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15 인구주택총조사 표본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가장 큰 변화는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 변화다. 5년 전 거주지를 기준으로 할 때, 수도권 전입인구는 238만7000명, 전출인구는 255만명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0년까지만 해도 수도권으로의 인구 순유입이 20만명에 달했지만 2015년에는 16만3000명 순유출로 전환된 것이다.
서울에서 빠져나오는 인구가 많았기 때문이다. 시도간 순유출 인구는 서울이 57만100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순유입 인구는 경기가 34만3000명으로 가장 많았다. 경기도로 순유입되는 인구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서울의 인구유출이 너무 커서 수도권이 인구 순유출로 전환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수도권과 접한 충남·충북·강원지역으로의 이동이 많았다. 수도권에서 순유출된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은 충남(7만2000명), 수도권으로 순유입이 가장 많은 지역은 대구(2만5000명)로 나타났다. 이재원 통계청 과장은 "세종시와 혁신도시로의 인구이동, 서울의 전세가 상승 등이 불러온 결과"라며 "인구주택총조사를 시작한 1970년 이후 수도권 인구가 유출된 것은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세종시로의 순이동은 9만5000명으로, 이중 3만7000명이 수도권에서 온 것이다.
수도권으로 이동한 인구의 경우 연령은 20대와 30대가 각각 21.7%, 27.9%로 가장 많았다. 절반이 20~30대였던 셈이다. 교육 정도는 대학교(38.8%) 비율이 높았고, 특히 서울의 경우 대학교 비중이 48.2%로 절반을 차지했다. 수도권 밖으로 이동한 비율 역시 30대(28.4%)와 대학교(37.0%) 비율이 높았다.
거주지를 옮기는 인구는 대체적으로 교육 정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6세 이상 인구 이동률을 교육정도별로 보면, 5년 전과 1년 전 거주지 기준 모두 대학원 이상의 이동률이 27.1%, 9.6%로 가장 높았다. 교육 정도가 높은 사람일수록 좋은 일자리 기회가 많고, 이동에 대한 제약이 적기 때문이다.
시군구를 넘어서는 장거리 이동은 고령화로 인해 점차 감소하는 추세다. 5년 전 거주지 기준 시군구 경계를 벗어난 이동률은 16.4%로 2010년(18.9%) 대비 줄었다. 이 과장은 "인구이동은 일반적으로 사회가 개발 단계에 있을 때 많은데, 한국은 개발 단계를 지났다"며 "인구이동 측면에서 점차 안정화되는 추세"라고 말했다.
태어난 지역에서 지금까지 살고 있는 인구(출생지 거주인구)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40.7%(2011만3000명)로, 이 비율이 높은 지역은 제주(68.9%), 전남(63.0%)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기(26.4%), 세종(26.4%), 인천(35.8%)등 인구이동이 잦은 지역의 경우 비율이 낮았다. 시군구별로는 전남 진도군(81.2%), 전남 신안군(80.5%) 등이 높았고, 충남 계룡시(15.7%), 경기 의왕시(17.8%) 등은 낮게 나타났다.
여성들이 고향을 떠나는 비율이 더 높았다. 태어난 시군구에서 사는 여성은 38.8%로 남성(42.6%) 대비 3.8%포인트 낮게 나타났다.
서울과 수도권으로 인구가 몰린 데 따른 영향으로, 전국 인구 중 서울 출생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16.2%로 가장 높았다. 2010년(15.9%)에 비해서도 0.3%포인트 상승했다. 경기가 12.9%로 5년 전보다 비율이 0.7%포인트 상승했다. 경북은 9.1%로 출생인구 비율이 세 번째로 높았으나 5년 전(9.5%)보다는 비율이 줄었다. 서울과 경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출생한 인구 비율이 감소했다.
이 과장은 "서울·경기에서 출생한 인구 비중이 높은 것은 기본적으로 이 지역의 인구비중이 높기 때문"이라며 "인구비중이 낮은 전남·충남·경북·전북 등의 출생인구 비중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서울 인구 절반은 서울에서 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이 47.9%를 차지했으며 경기가 7.9%, 전남이 7.6%를 기록했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