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아껴야겠쥬? 보호해야겠쥬!, 백두대간 '정맥’ 산림혜택 연간 2조억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백두대간 ‘정맥’의 산림혜택이 연간 2조900억원에 달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산림청은 지난 2009년부터 최근까지 수행한 ‘백두대간과 정맥의 산림자원 실태 및 변화조사’에서 이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했다고 20일 밝혔다.

정맥은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뻗어난 13개의 산줄기를 일컫는 말로 이 일대에는 91개 시·군과 2200만여명의 국민이 삶의 터전을 꾸려나가고 있다. 백두대간 자락에 32개 시·군, 215만여명이 거주하는 것을 감안할 때 더 광범위한 산림혜택이 제공되고 있는 셈이다.


이중 수도권 북부지역을 가로지리는 ‘한북정맥’으로부터 얻는 연간 산림혜택은 1조5335억원으로 가장 높은 비중치를 차지했다. 이를 인근 거주자 개개인의 산림혜택으로 환산할 때는 1인당 12만원가량의 산림혜택이 제공되는 셈이라고 산림청은 설명했다.

반면 연구결과에서 정맥(31.9%)은 백두대간(68.9%)에 비해 관심도가 절반 이하 수준인 것으로 파악돼 정맥에 관한 연구 및 정책 확대, 국민들의 인지도 제고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특히 난개발 등으로부터 정맥을 보호하는 대책마련도 시급하다. 연구결과 정맥과 인접한 800여개소에는 도로, 공원묘지, 골프장, 채광·채석 등으로 인한 대규모 훼손이 빈번하게 발생한 것으로 확인된다.


자연적으로는 백두대간 강원북부지역 ‘향로봉~구룡령’ 일대에서 침엽수가 쇠퇴하는 불균형도 나타난다. 이 구간은 평균고도 1000m이상의 고산지역으로 침엽수가 자생하던 공간이다.


하지만 2009년과 2016년 생태환경 조사결과를 대비해 볼 때 활엽수는 종전 54.66%에서 61.06%로 산림 비중이 늘어난 반면 침엽수림은 15.14%에서 13.77%로 줄어든 것으로 파악된다. 같은 기간 혼효림도 30.19%에서 25.16%로 비중이 줄었다.


산림청 최은형 백두대간팀장은 “산림청은 해마다 지방자치단체, 환경사회단체, 유관기관과 함께 백두대간, 정맥의 산림자원 조사와 훼손지 복원사업을 실시한다”며 “이와 함께 백두대간과 정맥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확대하고 해당 지역의 산림을 복원하는 데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연구결과는 21일 국회에서 열리는 ‘세계 산림의 날·식목일 기념 심포지엄’을 통해 공개된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