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부동산, 금리블랙홀]중도금 대출 또 몸살… 불안해진 서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0초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국내 주택시장에도 적지 않은 여파가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내달 13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 인상 여부가 결정될 예정으로 동결되더라도 시중 은행들이 가산금리를 조정할 가능성이 높아서다.


[부동산, 금리블랙홀]중도금 대출 또 몸살… 불안해진 서민 서울시내 견본주택 내부. /
AD

전문가들은 지난해부터 지속되고 있는 아파트 중도금 대출 시장의 불안세가 더욱 짙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가뜩이나 중도금 집단대출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금리까지 인상될 경우 서민들의 부담은 더욱 늘어날 수밖에 없어서다.

기존 계약자들도 문제다. 당첨자 대부분이 은행 집단 대출을 통해 중도금을 납부하고 있는 상황으로 남은 대출 기준이 조정되면 계약자들은 위약금을 물어 계약 조건을 변경하거나 추가 개인 신용대출까지 고민할 수밖에 없다.


문제는 중도금 대출 금리가 꾸준히 오르고 있는 점이다. 중도금 대출 평균금리는 이미 높아진 수준이다. 1월 취급된 은행권 중도금 대출 평균금리는 3.90%로 2015년 9월 연 2.64%까지 하락했던 평균금리는 지난해 9월 3.53%, 12월 3.93%로 높아졌다. 앞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예정되면서 시장금리가 오르고 올해 분양물량 입주 시기가 몰리며 아파트 가격 하락 가능성이 제기되자 은행들이 위험 관리에 나선 결과다.

은행들이 중도금 대출 심사 때 초기분양률, 분양지역 등 사업성을 검토하면서 단지별 금리 격차도 커졌다. 강남권 아파트의 1월 중도금 대출금리는 연 2.98%였지만 조선업 침체로 지역 경기가 악화된 경남 거제에선 연 5.0%까지 대출금리가 올라갔다. 지난달 서울 강북지역 아파트의 중도금 대출 평균금리는 3.51∼3.61%, 경기지역은 3%대 후반 수준이었다. 일부 저축은행의 중도금 대출 금리는 6%대까지 치솟았다.


정부의 집단대출 옥죄기가 이어지며 중도금 대출 자체를 받기도 쉽지 않아졌다. 2월 이후 중도금 1차 납부가 시작되는 지난해 10월 분양 사업장을 대상으로 심각한 부작용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 당시 분양한 전국 3만7000여가구 중 70%가 넘는 2만6000가구가 중도금 대출에 난항을 겪었다.


건설사들의 피해도 두드러진다. 평택 일대 A 사업장은 납부일을 최대 두 달까지 미뤘다. 80%대의 분양률을 기록했지만 은행이 "기존과 같은 기준으로 대출해 줄 수 없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어서다. 지방에 자리잡은 중소형 건설사들은 더 열악하다. 은행들은 90%의 계약률을 넘기 사업장도 지방이라는 이유로 집단대출을 해주지 않고 있다. 고금리는 물론 기타 예금까지 요구하는 이른바 '꺾기' 관행도 심각해지는 수준이다.


시장에서는 중도금 대출난에 이어 향후 잔금 만기가 시작될 경우 문제는 더 악화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지금까지는 집단대출 중 잔금대출이 거치기간 5년까지는 원금을 상환하지 않고 이자만 내는 구조였지만 올해부터는 아파트 입주 때부터 원금과 이자를 함께 갚아야 한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미국 기준금리 인상은 국내 시중금리와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져 부동산 시장을 위축시키는 요인"이라며 "한국 기준금리는 인상이 쉽지 않겠지만 미국 기준금리 인상 자체만으로 시장은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