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시 小개발 추진]정비구역 35곳 푼다… 서울시 직권해제 결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9초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서울시가 35개 정비구역을 일괄 해제한다. 일몰기간이 경과됐거나 주민들의 해제 요구가 집중된 지역이 대상이다. 그동안 이뤄진 정비예정 및 정비구역 해제 중 가장 큰 규모로 서울시 직권해제가 이뤄진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서울시는 15일 열린 제5차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정비구역 직권해제안'을 최종 가결했다고 밝혔다. 실질적인 해제는 3월말 고시를 통해 이뤄질 예정으로 주거재생사업, 주거환경관리사업 등 대안사업이 추진된다.

앞서 서울시는 2015년 '뉴타운·재개발 ABC관리방안' 발표 후 구역별 사업추진 상황에 맞춰 A(정상추진), B(정체), C(추진곤란) 등 3개 유형으로 나눠 관리를 진행했다. A구역은 조합·추진위원회 운영비 공공융자 한도를 늘려 사업 추진을 지원하고 사업을 둘러싼 주민 사이의 찬반 갈등이나 조합과 시공사 간 갈등 등으로 사업이 정체된 B구역에는 시가 변호사, 감정평가사, 건축설계사로 구성된 갈등조정자(코디네이터)를 파견해 사업 정상화를 이끄는 방식이다.


이번에 해제된 지역은 사업 추진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C등급을 받았다. 주민 동의를 받아 정비구역에서 해제하되 불가피한 경우 서울시 직권으로 정비구역에서 제외한 것이다. 서울시는 2015년 1차로 수유 1-1 구역 등 27개 정비예정구역을 직권해제한 바 있다.

2차 해제구역 중에는 이례적으로 강남권 사업지도 포함됐다. 서초 방배8구역으로 추진위원회 운영이 사실상 중단됐다고 판단돼 해제를 결정했다. 한남1구역과 사직2, 충신1, 옥인1 등 5곳은 최고고도와 역사문화가치 보전을 위해 해제가 이뤄졌다. 독산18, 독산20, 시흥19, 시흥21, 시흥22, 시흥23, 성산동165 등 14곳은 일몰기간이 경과돼 해제됐다.


서울시는 나머지 사업지들 역시 면밀한 조사를 통해 해제 혹은 사업추진 결정을 조속히 내리겠다는 계획이다. '뉴타운·재개발 ABC관리방안' 발표 이전까지 뉴타운·재개발 지역 683곳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여 245곳을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구역 해제한 상태로 남은 483곳 중 사업 추진 주체가 있는 327곳이 ABC등급제 관리 대상으로 남았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2012년부터 추진해 온 뉴타운 재개발 수습대책에 따라 주민 뜻대로 사업추진 또는 해제하는 등 진로를 결정하도록 했지만 아직도 결정을 하지 못한 구역이 많이 남았다"며 "서울시가 이번에 직권해제를 추진한 35개 구역도 수년간 사업 진척이 없거나 구역 내 주민들의 해제 요청이 있던 곳으로 향후 대안사업 전환을 유도해 지역주민이 보다 나은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