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차이나 리스크⑤]금융·안보까지 번질까…높은 의존도 탓 '속수무책'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3초

中 사드보복 위협 커지면서 韓 기업들 '비상'


[차이나 리스크⑤]금융·안보까지 번질까…높은 의존도 탓 '속수무책'
AD

[아시아경제 오종탁 기자] 국방부와 롯데 간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부지 계약이 마무리되고 한반도 사드 배치가 본격화하자 중국의 위협 수위도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일각에선 '더 이상 중국에 휘둘려선 안 된다'고 주장하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한국 정부와 기업들은 진퇴양난에 빠진 모습이다.

2일 정부와 유통업계에 따르면 중국 언론들은 롯데 등 한국 기업에 대한 실질적 보복을 선동하고 있다. 전날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자매지인 환구시보(環球時報)의 영문판 '글로벌 타임스'는 사설에서 "중국 소비자들은 시장의 힘으로 한국을 벌함으로써 한국에 교훈을 줄 주요한 세력이 돼야 한다"며 불매 운동을 부추겼다.


관영 신화통신도 '중국은 이런 롯데를 환영하지 않는다'는 시평을 통해 "사드 배치에 직접 관여된 롯데는 당연히 책임을 피할 수 없고 이로 인한 손실은 모두 자기가 뿌린 씨앗에서 비롯된 것"이라면서 "어느 나라 국민인들 외국 기업이 자기 나라에서 떼돈을 벌면서 국익에 손해를 입히는 행동을 용납할 수 있겠느냐"고 강조했다.

언론뿐 아니라 중국 소비자들도 한국과 롯데에 대한 반감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롯데면세점 웨이보(중국판 트위터)는 '중국을 떠나라'는 2만여개 중국인 네티즌 댓글에 시달리고 있고, 중국 주요 온라인 쇼핑사이트 '징동 닷컴'에선 '롯데마트'관이 갑자기 사라져 보복 의혹을 낳았다.


롯데그룹 중국 홈페이지가 해킹 공격에 따라 마비되는 등 실제 피해도 하나 둘 확인되고 있다. 롯데그룹의 중국 홈페이지(http:www.lotte.cn)는 지난달 28일 오후부터 다운돼 접속이 불가능한 상태다. 지난달 28일 롯데백화점 선양(瀋陽)점 앞에서는 일반 시민이 '한국사드 반대, 중국에서 사라져라'라는 피켓을 들고 1인 시위했다.


현재 분위기론 언제든 중국 정부나 소비자 단체의 조직적, 집단적 불매 운동 또는 여타 보복 행위가 나타날 우려도 크다. 롯데는 만약에 있을지 모르는 비상 상황에 대비, 주재원들이 비상 대기하며 예의주시하고 있다.


[차이나 리스크⑤]금융·안보까지 번질까…높은 의존도 탓 '속수무책'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들(사진=아시아경제 DB)


비상 걸린 기업은 롯데뿐이 아니다. 중국의 분노는 롯데를 겨냥하는 것을 넘어 한국 기업 전반으로 확산되는 추세다. 중국에 진출한 다른 기업들도 한·중 언론과 중국 소비자 동향 등을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있다.


변경록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사드 보복은 철저한 '등가 대응'에 비유된다. 한국의 사드 배치가 구체화하는 단계마다 중국은 보다 강도 높은 조치로 대응해 왔다"며 "한반도에 사드의 실전 배치가 이뤄진다면 중국의 노골적인 경제적 보복 조치는 더욱 강화하며 절정에 이를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사드 보복 조치 기조는 현재까지 초기 단계의 압박 외교, 직접적인 경제 제재로 진행됐으며 향후 금융, 안보 등 전 분야에 걸친 고강도 제재로 전개될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변 연구원은 지적했다.


속수무책으로 상황을 지켜보는 기업들과 달리 온라인상 한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중국의 협박에 대한 맞불 여론이 거세지는 분위기다. 일부 네티즌들은 '우리도 중국 필요 없다' '대기업 생산 공장을 동남아 등으로 옮기자' '중국과 단교하고 중국산 불매 운동에 나서자'는 등 격정을 토해내고 있다.


그러나 한국 경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국 시장을 포기할 순 없는 현실이다. 지난달 대(對)중 수출은 28.7% 증가해 2010년 11월(29.7%) 이후 75개월 만에 가장 많이 늘었다.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중국의 비중도 25%에서 지난달 26.9%까지 높아졌다. 다만 전문가들은 미래를 내다보는 전략적 관점에서 지금이라도 중국 의존도를 줄여 나가야 한다고 지적한다.




오종탁 기자 ta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