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경제는 회복되고 있지만, 한국경제는 그렇지 못하다. IMF에 따르면, 세계 경제성장률은 2016년 3.1%를 기록한 이후, 2017년과 2018년 각각 3.4%, 3.6%로 반등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한국 경제성장률은 2016년 2.7%를 기록한 이후, 2017년과 2018년 2.5%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경제와 한국경제의 디커플링이 발생하는 여러 가지 배경중 하나는 '수출침체'다. 한국은 수출이 2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2015년 세계 6위 수출대국에서 2016년 8위국으로 하락했다.
2017년 한국 수출은 '트럼프노믹스 위협'을 받고 있다. 첫 번째 위협은 FTA 지형변화다. 미국 무역대표부는 지난 1월 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탈퇴를 공식 선언했다. 이에 따라 TPP 발효 가능성이 불투명해지면서,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추진이 탄력을 받고 있다. 그 밖에도 트럼프 정부는 한ㆍ미 FTA를 재검토하고, NAFTA 탈퇴 의사를 수차례 밝힌 바 있다. 한국의 수출은 FTA 체결국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구조를 띄고 있다. 2010년 FTA 발효국에 대한 수출의존도는 14.7%에 불과했으나, 2015년 43.4%, 2016년 47.3%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결국 FTA의 지형변화는 한국 수출에 상당한 불확실성을 조성할 것이다.
둘째, 환율 절상압력은 한국 수출의 큰 리스크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제조업을 육성하고, 수출을 확대하여 미국 경제 성장을 주도하고자 하는 트럼프의 정책기조 하에서 미국은 한국을 포함한 주요국들에게 통화가치 절상압력을 가하고 있다. 2017년 4월 발표될, 미국 환율보고서에 한국이 환율조작국 혹은 감시국으로 평가될 우려가 있다. 그렇게 될 경우 한국은 환율 절상 압력이 가중되고, 이에 따라 수출경쟁력 및 수출채산성이 크게 악화될 위험이 있다.
셋째, 국경조정세 도입은 대미 수출에 상당한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미국은 법인세율을 낮추어 기업들을 자국에 유치하려는 전략을 모색하고 있고, 세수 부족분을 보완하고 자국에서 제조하는 기업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위해 국경세 또는 국경조정세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찬반 논란이 가속화 되고 있지만, 국경조정세가 도입될 경우 국내 소비재 수출기업들과 우회수출을 통해 미국에 수출하는 기업들에게 상당한 충격이 예상된다. 또한 미국 수입시장이 크게 축소될 뿐만 아니라, 기존의 공급사슬 전략에 큰 혼선이 빚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보호무역 조치가 확대되고 있다. 최근 미국의 보호무역 조치들을 보면, 기술장벽, 위생검역, 상계관세, 반덤핑 등 매우 다양하다. 전자제품에 대한 안전성 기준을 강화하고, 자동차 등에 관한 환경규제도 더욱 강화하고 있으며, 식품 및 화장품 등에 대한 위생검역 수준과 절차를 까다롭게 하고 있다. 대미 수출에 의존하는 한국 기업들이 갑작스레 직면한 보호무역 조치들에 대해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혼란스러워 하고 있다.
트럼프노믹스에 대비해야 한다. 첫째, FTA 지형이 크게 변화할 것이기 때문에, 기업들의 FTA 활용 전략에도 변화가 필요하다. 새롭게 FTA를 체결할 국가를 적극 타겟팅하고, FTA 개정 및 폐기 가능성을 진단해야 한다. 둘째, 다국적인 공급사슬구조를 확보함으로써 국경조정세 도입 등의 교역조건 변화에 적시 대응해야 한다. 셋째, 다양한 거시경제 지표의 흐름과 주요국의 위기 발생가능성 등을 모니터링 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특히 2017년 미국 기준금리 인상 속도에 주목하고, 환율 급변등 가능성 및 시점에 유의하여 환헷지 등의 재무관리적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업들은 보호무역 조치에 대한 초반 대응이 필수적이다. 철저하게 질문서 답변을 준비해야 하며, 각국이 요구하는 제품 인증을 서둘러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김광석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겸임교수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