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태영호, 왜 ‘암살표적 1순위’? 탈북 외교관 중 최고위급, 64억 통치자금 갖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태영호, 왜 ‘암살표적 1순위’? 탈북 외교관 중 최고위급, 64억 통치자금 갖고…
AD


[아시아경제 디지털뉴스본부 최누리 기자] '암살 표적 1순위'로 태영호 전 영국주재 북한대사관 공사가 공식활동을 모두 중단한 가운데, 그가 누구인지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태영호 전 공사는 1962년생으로 지난해 8월17일 영국 주재 북한 공사로 지내던 중 일가족과 함께 한국으로 망명했다. 공사는 대사 다음 서열로, 탈북한 외교관 중 최고위급이다.


태 전 공사는 서유럽 사정에 정통한 베테랑 외교관으로 평가받은 인물이다. 2001년 6월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북한과 유럽연합(EU)의 인권대화 당시 대표단 단장으로 나서면서 외교무대에 이름을 알렸다.

그는 5년제 평양 국제관계대학을 졸업하고 외무성 8국에 배치됐다. 곧바로 김정일 총비서의 전담통역 후보인 덴마크어 1호 양성통역으로 선발돼 덴마크 유학길에 올랐다. 이후 1993년부터 주 덴마크 대사관 서기관으로 활동하다가 1990년 말 덴마크 주재 북한 대사관이 철수하면서 스웨덴으로 자리를 옮겼다.


태 전 공사는 이후 EU 담당 과장을 거쳐 10년 정도 영국 주재 북한 대사관으로 파견됐다.


특히 그의 아버지가 김일성 전령병으로 활동한 항일 빨치산 1세대 태병렬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태영호 전 공사는 기자회견에서 “같은 성을 가졌으나 그와는 아무 관련이 없다”고 밝혔다. 또한 그의 아내 오혜선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겸 호위총국장을 지낸 오백룡의 손녀로 확인됐다.


탈북 당시 태 전 공사는 580만 달러(약 64억원) 통치자금을 가지고 탈북한 것으로 알려졌다. 태영호의 망명에는 영국과 미국 정보기관이 관여된 것으로 전해졌다. 영국에서 독일 내 미국 람슈타인 공군 기지를 경유해 한국으로 망명한 것으로 보인다.


21일 국가정보원에 따르면 김정남 피살 사건 이후 태 전 공사가 다음 표적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외부 강연은 물론 언론사 인터뷰 등 모든 공식 활동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디지털뉴스본부 최누리 기자 asdwezx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