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10명 중 7명 '혼밥족…"분식·햄버거 먹지만 삼겹살도 OK!'

시계아이콘읽는 시간2분 40초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국민 1000명 조사 결과

10명 중 7명 '혼밥족…"분식·햄버거 먹지만 삼겹살도 OK!' 식당에서 혼자 밥을 먹고 있는 대학생들.
AD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국민 10명 중 7명은 식당에서 혼밥(혼자서 밥을 먹는 일)을 해본 경험이 있으며, 이때는 주로 라면 등 분식과 햄버거 등의 메뉴를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trendmonitor.co.kr)가 전국 만 15~59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혼밥’ 및 ‘1인 식당’과 관련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이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68.5%가 한번쯤 식당에서 ‘혼밥’(혼자 밥을 먹는 행위)을 해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20대~30대 젊은 층이 혼밥 경험률이 높았다. 연령대 별로 10대 46.5%, 20대 80%, 30대 79%, 40대 68.5%, 50대 68.5% 등이었다.


1인~2인가구도 3~4인가구보다 경험률이 높았다. 1인가구 77.4%, 2인가구 80.2%인 반면 3인가구 71.8%, 4인 이상 가구 63.3% 등은 낮았다. 개인화 성향이 강한 ‘젊은 세대’와 혼자 있는 시간이 많은 ‘1~2인 가구’가 주로 혼밥을 많이 즐기고 있다는 것이다.

혼자 밥을 먹을 때 주로 많이 찾는 메뉴는 분식(68.2%, 중복응답)과 햄버거(63.2%)였다. 또한 중식(47.9%)과 가정식 백반(46.3%), 일식(31.2%), 샌드위치 및 샐러드(31.1%)도 혼자 먹을 때 많이 찾는 메뉴들이었다.

10명 중 7명 '혼밥족…"분식·햄버거 먹지만 삼겹살도 OK!' ▲1인 전용 샤브샤브 화로


분식은 연령에 관계 없이(10대 69.9%, 20대 71.3%, 30대 65.8%, 40대 67.2%, 50대 67.2%) 혼밥족들이 공통적으로 많이 찾는 메뉴였으며, 햄버거는 10대(67.7%)와 20대(73.1%)가, 중식은 40대(54%)와 50대(68.6%)가 혼자서 많이 먹는 음식이었다. 20대는 가정식 백반(51.9%)과 일식(37.5%)과 샌드위치/샐러드(43.8%)도 혼밥의 메뉴로 많이 찾았다.


혼자서 밥을 먹은 이유에 대해선 대표적인 상황으로는 여행이나 출장 등 혼자서 다른 지역에 갈 일이 생겼거나(36.8%, 중복응답), 바쁜 일정으로 인해 사람들과 식사시간을 맞추지 못했을 때(35.6%)가 주로 많이 꼽혔다.


연령이 높을수록 다른 지역에서 혼자 식사를 했거나(10대 15.1%, 20대 27.5%, 30대 36.7%, 40대 44.5%, 50대 54.7%), 다른 사람들과의 식사시간을 맞추지 못해서(10대 26.9%, 20대 35%, 30대 34.2%, 40대 40.9%, 50대 38.7%) 혼밥을 한 경험이 많은 특징을 보였다.


그러나 특별한 이유 없이 그냥 배고플 때 혼자 밥을 먹었거나(24.1%), 혼자 먹는 게 더 편해서 혼밥을 즐겼던(23.8%) 경험 또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렇게 자발적으로 혼밥을 즐기는 사람들은 주로 젊은 세대로, 그냥 배가 고플 때(10대 40.9%, 20대 31.3%, 30대 20.3%, 40대 17.5%, 50대 15.3%) 또는 혼자 먹는 게 더 편해서(10대 25.8%, 20대 26.3%, 30대 26.6%, 40대 19%, 50대 21.2%) 혼밥을 하게 된 경험이 모두 30대 이하에서 많은 편이었다. 그밖에 먹고 싶은 음식이 있는데 함께 밥을 먹을 사람이 없거나(21.3%), 다른 사람과 약속을 잡는 것이 번거롭고 귀찮아서(15.3%) 혼밥을 했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최근들어 혼밥족들을 겨냥해서 많이 등장하고 있는 ‘1인 식당’은 아직까지 전반적인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1인 식당을 알고 있다고 밝힌 응답자는 전체 10명 중 3명(29.7%)으로, 여성(남성 26.2%, 여성 33.2%)과 20~30대 젊은 층(10대 27.5%, 20대 37.5%, 30대 32%, 40대 25%, 50대 26.5%)의 1인 식당 인지율이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1인 식당 인지자 중에서는 절반 가량(51.2%)이 실제 이용을 해 본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상대적으로 남성(남성 61.8%, 여성 42.8%)과 20~40대(10대 27.3%, 20대 57.3%, 30대 59.4%, 40대 56%, 50대 52.8%)의 이용경험이 두드러졌다.


1인 식당에서 가장 많이 먹어 본 음식의 종류는 일식(58.6%, 중복응답)이었으며, 분식(27%)과 가정식 백반(26.3%), 중식(23.7%)도 1인 식당에서 많이 찾은 메뉴 중 하나였다.

10명 중 7명 '혼밥족…"분식·햄버거 먹지만 삼겹살도 OK!'


비록 1인 식당의 존재가 아직은 잘 알려져 있지는 않았지만, 향후 이용의향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73.4%가 1인 식당을 이용해보고 싶다는 의향을 드러낸 것으로, 앞으로 1인 식당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질 것이라는 예상도 충분히 가능케 했다.


특히 남성(70%)보다는 여성(76.8%), 그리고 10~30대(10대 78.5%, 20대 84.5%, 30대 76.5%, 40대 60%, 50대 67.5%)가 1인 식당의 이용의향을 많이 드러냈다. 무엇보다도 외식트렌드를 주도하고, 혼밥 경험 또한 많은 20~30대의 이용의향이 높다는 점에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1인가구가 다른 가족구성체계의 소비자에 비해 1인 식당 이용 의향(1인가구 76.3%, 2인가구 73.3%, 3인가구 71.8%, 4인 이상 가구 73.7%)이 높은 것도 특징이었다.


1인 식당이라도 꺼려하는 메뉴는 직화구이 고기(49.3%, 중복응답)와 샤브샤브(47.9%), 뷔페식 음식(45%)이 주로 많이 꼽혔다. 아무리 혼자서 먹는 공간이라고 해도 기본 주문량이 많이 요구되거나, 손이 많이 가고, 잦은 이동을 필요로 하는 음식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부담감을 느끼는 것으로 보여진다.


다만 평소 혼밥을 즐기는 20~30대는 직화구이 고기(20대 41.5%, 30대 46.5%), 샤브샤브(20대 40.5%, 30대 44%), 뷔페식 음식(20대 40%, 30대 43.5%)을 꺼리는 태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모습을 보였다. 보쌈/족발(40.5%)과 스테이크(34.8%), 치킨(21.9%) 등도 1인 식당에서 혼자 먹기 꺼려지는 메뉴들이었다.


반면 1인 식당에서 혼자 먹어도 괜찮은 메뉴로는 햄버거(67.8%, 중복응답)와 함께 일식(65.6%), 분식(64.2%), 중식(62.5%), 가정식 백반(56.5%), 샌드위치 및 샐러드(55.7%), 롤/초밥/회(54.8%)를 꼽는 사람들이 많았다. 평소 식당에서 혼자 밥을 먹을 때 많이 찾는 메뉴들이 1인 식당의 메뉴로도 적당하다고 바라보는 것이다. ‘집밥’이라고 할 수 있는 가정식 백반의 경우 20~30대(20대 63.5%, 30대 62%)와 1인가구(63.4%)가 많이 찾는 것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1인 식당에서 판매됐으면 하는 메뉴는 롤/초밥/회(39.4%, 중복응답), 일식(35.2%), 스테이크(34.7%), 가정식 백반(34.3%), 샌드위치 및 샐러드(31.5%), 직화구이 고기(30.6%), 분식(29.8%) 순으로 꼽혔다.


다만 1인 식당이라고 해도 혼자 먹기는 꺼려진다는 응답이 많았던 ‘고기’ 종류의 음식을 원하는 소비자가 적지 않은 것이 눈에 띄는 결과였다. 특히 1인 식당 이용의향이 높은 20~30대와 1인가구가 1인 식당에서의 스테이크(20대 34%, 30대 40.5%, 1인 가구 41.9%) 및 직화구이 고기(20대 36.5%, 30대 35.5%, 1인가구 37.6%)의 판매를 많이 원하고 있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