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신안 비금면 우체국, 지역특산물 판로개척에 앞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7초

[아시아경제 서영서 기자]전남 신안군 비금면 우체국(국장 이용기)이 지역특산물 판로개척으로 지역주민과 상생의 길을 열어가고 있어 지역발전의 새로운 롤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비금면 우체국(국장 이용기)은 전 직원이 6명으로 지난해 7월 이용기 국장이 이곳으로 새로 부임하면서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지역주민과 소통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이를 강구하게 됐다.

비금도는 다도해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될 만큼 청정한 지역이면서 게르마늄이 함유된 비옥한 토양에서 여름에는 단 호박, 겨울에는 섬 초, 세발나물 등 맛과 품질이 뛰어난 특산물이 많음에도 어려움이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농협에서 수매해 가락동 시장으로 출하하는 과정에 어려움을 겪었다.

농협이 운영하는 배 시간에 맞추기 위해 새벽에 작업을 하는가 하면 이런 수고를 비웃듯 가락동 시장에서 경매 제 값을 받지 못할 경우도 많았기 때문이다.

이에 이 국장은 직원들로부터 이와 같은 지역사정을 듣고 고심 끝에 전국적인 전자상거래망을 통한 판로확대 방안을 세웠다.


이 국장은 지난해 여름, 단호박 생산농가 중 통신판매 의향이 있는 농가를 찾아 나서 물량이 확보된 농가와 전자상거래 전문업체인 G마켓과 우정사업본부에서 운영하는 우체국쇼핑몰 사이트에 단 호박 상품 입점을 추진했다.


그러나 경험 및 홍보 부족, 비금도 단호박에 대한 고객들의 낮은 인지도 등으로 두 달여 동안 250상자 총 400여만원의 매출효과를 거두는 데 그쳐 애초 기대했던 만큼의 성과를 거양하지는 못했다.


이 국장은 의욕만 앞서 시작했던 일이 기대만큼 효과를 거두지 못한 경험을 살려 전국에 산재해 있는 2800여 단위우체국에 비금도 섬 초와 세발나물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는 홍보공문 발송, 4만여 종사원이 이용하는 우체국 내부 게시판에 섬초와 세발나물 홍보코너를 개설하는 등 판로확충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이러한 노력으로 지난해 12월 중순부터 현재까지 한 달여 동안 섬초는 2000상자 판매에 3000만원의 매출액을, 세발나물은 500상자 판매에 700만원의 작지 않은 매출액을 거양하는 등 농가 입장에서는 지역특산물 인지도 향상과 소득증대라는 부가효과를 우체국은 택배세입 70% 증가라는 성과를 함께 거둬 우체국과 지역주민의 상생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기틀을 마련했다.


이용기 국장은 “섬 초와 세발나물 판매는 다가오는 설 명절을 맞이하여 매출액이 더욱 더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지역주민의 소득증대와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우체국상 정립을 위해 앞으로도 꾸준하고 다양한 활동을 계속 전개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서영서 기자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