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업무보고]전기차 2만6000대 보급…환경산업 수출 9조원 달성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정부가 올해 전기자동차를 1만4000대가량 추가 보급해 2만6000대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또 환경전문 무역상사를 지정하는 등 환경산업의 해외진출을 통해 관련 수출 9조원을 달성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9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주재로 열린 2017년 업무보고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화학물질, 미세먼지 등 환경 위해로부터 국민들의 안전을 확보하고, 미래 환경수요에 대응해 신산업과 해외진출 등을 지원하는 내용이 골자다.

먼저 환경부는 친환경차 보급을 지난해 1만1767대에서 올해 2만6000대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장기렌트(6000대) 등 다량수요처를 발굴하고, 전기차 보조금 지급대상은 기존 10개 차종에서 화물차 등을 포함해 13개 차종으로 늘린다. 올해 전기차 구입시 국고보조금 1400만원, 지자체 보조금 300만~12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공공급속충전기도 지난해 750기에서 올해 2610기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환경 신산업 육성에도 박차를 가한다. 유망 중소기업이 환경관련 프로젝트를 수주할 경우 자금을 지원하는 내용의 미래환경산업펀드를 6월 께 330억원규모로 출시한다. 또 환경전문 무역상사 지정, 환경 신기술·시제품 실증 테스트베드 준공 등을 통해 환경산업 수출 9조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조경규 환경부 장관은 "정부의 선제적 투자로 환경기업과 프로젝트에 대한 민간자본 투자를 확대하고, 스타 환경기업 육성, 해외 수주 등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기 폐차되는 노후경유차 규모는 작년 4만8000대에서 6만대까지 늘린다. 수도권 노후경유차 운영제한 제도도 올해부터 본격 시행된다. 건설 중인 석탄발전소 9기의 배출기준은 내달부터 최대 5배까지 강화된다. 모두 미세먼지 감축을 위한 조치다.


오는 4월부터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예보모델을 시범운영하고, 미세먼지(PM2.5) 측정망을 191개소에서 287개소로 늘려 고농도 미세먼지 예보정확도를 현재 63%에서 70%로 높이기로 했다.


이와 함께 환경부는 가습기 살균제 사고와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살생물제 및 생활화학제품 전수조사를 6월 완료하고, 위해우려제품은 기존 18종에서 27종으로 확대한다. 유해성 검증 없이는 살생물제품 출시를 불허하는 내용의 ‘살생물제관리법’도 제정한다. 작년까지 접수를 받은 가습기살균제 피해 신고자 4438명에 대한 폐 질환 조사판정도 연내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밖에 지진ㆍ기상 예·경보 고도화를 위해 지진관측망을 210개소로 늘리고, 11월까지 지진 긴급재난문자 송출 전용시스템을 구축해 지진조기경보 통보시간을 기존 50초에서 일본 수준인 25초 이내로 단축하는 내용 등이 포함됐다.




세종=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