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빅데이터 감염병 조기 시스템 구축…한계점도 뚜렷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감염병 실시간 파악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 수두룩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독감이 유행하면서 보건당국의 뒤늦은 대처에 불만이 나오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의료정보 시스템으로는 이 같은 일은 자연스럽다. 현행 감시체계는 인플루엔자와 같이 주간 단위 신고 대상 감염병인 경우 환자가 발생했을 때부터 보건당국 신고까지 최대 1주일이 걸리기 때문이다. 사후약방문이 발생하는 이유이다.


빅데이터 감염병 조기 시스템 구축…한계점도 뚜렷
AD

내년부터 이 같은 시스템에 약간의 변화가 일 것으로 보인다. '빅데이터 기반 감염병 발병 조기 파악 시스템'이 구축됐기 때문이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21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과 협력해 이 같은 시스템을 만들었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구축된 빅데이터 기반 감염병 발병 조기 파악 시스템은 의약품안전사용정보시스템(Drug Utilization Review)의 실시간 처방 내역 빅데이터를 분석해 감염병 발생 추이를 조기에 포착할 수 있다. DUR은 의사와 약사가 의약품 처방?조제를 실시간으로 환자의 복용 중인 약과 병용금기, 중복여부 등을 점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DUR에는 2010년부터 현재까지 51억 건의 의약품 처방과 조제내역이 축적돼 있다. 2015년 기준 일평균 약 460만 건의 처방·조제 내역이 전송되고 처리된다. 보건당국은 축적된 처방 데이터를 분석해 감염병 의약품 처방 패턴을 도출하고 패턴과 일치하는 처방내역을 실시간으로 추적해 감염병의 초기 확산 방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시스템도 한계는 뚜렷하다. 독감의 경우 처방내역이 매우 다양하다. A 병원에서 독감에 처방하는 약품과 B 병원에서 주는 약이 서로 다르다. 이 같은 다양한 패턴을 분석해 특정 질병의 확산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는 어려움이 뒤따른다.


이는 '진단명'이 이번 시스템에 빠져있기 때문이다. 심평원의 한 관계자는 "현재 시스템에는 의약품 처방 내용만 처리된다"며 "진단명 정보가 들어있지 않기 때문에 한계가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DUR에 진단명이 추가된다면 이 같은 한계점이 어느 정도 극복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진단명이 추가되더라도 여전히 넘어야 할 산은 많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일선 병원의 한 전문의는 "의사들은 대부분 처음 환자가 왔을 때 정확한 진단명을 내리지 않고 '의심'으로 진단한다"며 "이런 의료 현실을 제대로 반영한 감염병 조기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여러 가지 넘어야 할 산들이 많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