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미국 금리 인상에 금융권 비상대응 돌입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아시아경제 박철응 기자]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한국 금융권도 가계부채 대응 체계에 돌입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은 금리 상승으로 인한 한계 채무 증가에 대비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며 비상대책반을 위주로 한 대응에 나섰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은 이미 예상해왔던 이벤트이지만 단기적으로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가계대출 차주들 중에서 금리 인상으로 원금와 이자 상환이 어려운 고객들이 얼마나 될 지를 세밀하게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은행들은 특히 금리 상승으로 인한 실물경제 부진이 금융시스템 위기로 옮겨갈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잠재부실 여신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기본 방침이다.

금융당국도 향후 상황별 대응계획을 세우기 위한 스트레스테스트를 보다 세밀하게 강화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금리 인상 파급 영향에 대한 스트레스테스트를 당초 계획보다 좀 더 자세히 꼼꼼하게 하고 있다”면서 “금융연구원 등 여러 기관들과 함께 작업하고 있으며, 차주들을 소득별로 더 세분화하고 시나리오의 수도 늘려서 다양한 상황에서의 영향들을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15일 시장상황점검회의를 열어 "최근 시장금리 상승과 정책금리 인상 전망은 저금리 시대의 종언을 알리는 신호탄이라는 해석이 있으므로, 금리가 지속 상승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개별 금융회사는 리스크 관리를 이유로 취약계층에 대한 여신을 회수하려고 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금융회사들이 여신 관리에 군집행동(herd behavior)을 보일 경우 취약 차주들이 일시에 부실화되면서 경제 전반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경제 전체적인 관점에서 금융회사가 리스크관리와 자금중개자로서의 역할 사이에서 균형을 잡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 9월 말 현재 가계부채는 1295조원으로 1년동안 130조원이나 증가했다. 지난 10월과 11월 은행권 가계대출이 각각 7조5000억원, 8조8000억원 증가한 점을 감안하면 전체 규모는 이미 1300조원을 넘었다.


은행권 고정금리 대출비중이 41% 수준이므로 700조∼800조원은 금리 변동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다. 대출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가계가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이자가 연간 7조∼8조원에 달한다는 의미다. 고정금리로 분류되는 대출도 대부분 3∼5년이 지나면 변동금리 대출로 전환된다.


한은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금융·실물자산을 다 처분해도 빚을 갚을 수 없는 부실위험 가구가 6만 가구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박철응 기자 her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