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정부가 지난 31일 내놓은 조선ㆍ해운산업 경쟁력강화방안은 현행 조선3사의 설비ㆍ인력을 감축하되 대우조선해양은 당분간 유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중심의 '빅2' 체제 개편은 현 정부 하에서는 물건너 갔다.
대신 정부는 2018년까지 조선 3사의 도크 수를 현재 31개에서 24개로 23%가량 줄이고 조선 3사의 직영 인력 규모도 6만2000명에서 4만2000명으로 32% 감축키로 했다. 현대중은 유휴 도크 가동을 중단하고 태양광, 풍력 등 비조선해양 사업 부문은 분리한다. 삼성중은 호텔, 선주 숙소 등 비생산자산을 팔고 1조1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한다. 대우조선은 해양플랜트사업을 점진적으로 축소하고 14개 자회사와 조선소 사업장 외의 모든 부동산을 팔고 2018년까지 5500명의 직영인력을 줄인다.
이런 자구계획과 함께 현대중은 선박 연관 융합 서비스업 진출을 모색하고 삼성중은 상선 부문을 친환경ㆍ고부가 선박 중심으로 전문화한다. 대우조선은 대형 LNG선, 고효율 메가 컨테이너 등 차세대 신선박 사업에 나선다.
정부는 수주절벽에 대응하기 위해 11조원 규모로 250척 이상의 선박을 발주하기로 했다. 2018년까지 7조5000억원 규모의 공공선박 63척 이상을 조기 발주하고 2020년까지 3조7000억원의 자금을 활용해 75척의 발주를 지원한다.
대우조선을 살리는 구조조정방안에 대해 조선업계는 조선업종 부실의 원인이 된 대우조선을 살리기 위해 나머지 조선소가 구조조정을 감내하라는 것이라면서 원인과 결과에 따른 해법 자체가 잘못됐다고 비판하고 있다. 2020년까지 11조원 규모, 250척 이상의 선박 발주를 추진한다는 발표에 대해서는 당장에 도움은 되겠지만 '땜질식 처방' 지적도 나온다.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