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S&P, 韓 신용등급 'AA' 상향…역대 최초

시계아이콘01분 34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국제신용평가기관인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가 8일 한국의 신용등급을 'AA-'에서 'AA'로 상향한다고 밝혔다.


2014년 9월 'A+' 등급에서 지난해 9월 등급이 상향한 후 11개월 만에 또다시 등급이 오르게 됐다. 우리나라가 S&P로부터 AA등급을 받은 것은 역대 최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S&P는 이날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상향하면서 상향조정 요인으로 견조한 경제 성장, 지속적인 대외건전성 개선, 충분한 재정·통화정책 여력 등을 제시했다.


S&P는 한국 경제가 최근 대부분 선진 경제에 비해 견조한 성장세를 나타냈다고 평가했다. 한국의 1인당 GDP 성장률은 2.6% 수준으로 선진국 0.3~1.5%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 오는 2019년에는 한국의 1인당 GDP가 3만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추정했다.

또 특정 산업이나 수출시장에 의존하지 않은 다변화된 구조를 갖고 있다고 평가했다.


S&P는 "올해 수출이 부진하고 조선산업이 구조조정을 겪고 있으나 수출 실적은 지역내 여타 국가와 비교해 크게 다르지 않은 수준"이라며 "미국 경제의 회복이 대중국 수출 부진을 일부 보완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아울러 S&P는 한국의 대외부문 지표 개선이 이번 신용등급 상향조정 원인 중 하나라고 밝혔다.


S&P는 "국내 은행이 지난해 대외순채권 상태로 전환되고 은행부문 대외채무의 평균 만기가 증가했다"며 "경상계정 수입 대비 단기외채 규모가 감소했다"고 밝혔다.


또 한국의 변동 환율과 외환시장의 깊이가 대외 충격에 대한 강한 충격흡수 장치(buffer)로 작동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큰 폭 경상수지 흑자에 대해서는 세계교역 감소로 향후 2~3년간 흑자폭이 줄어들 수 있으나 국내총생산(GDP) 대비 5%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외에도 S&P는 한국의 통화정책이 견조하고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지원해 왔고, 물가안정 목표제가 경제 안정과 인플레이션 기대를 관리하는 데 대체로 성공적이라고 평가했다.


S&P는 "높은 가계부채는 통화정책을 제약할 수 있으나 변동금리부 대출의 고정금리 대출 전환 등의 노력이 가계 부채 위험을 완화하는 데 기여했다"며 "한국 정부의 부채는 지난해 기준 GDP의 20% 수준으로 크지 않은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GDP의 약 25%에 해당하는 비금융 공공기관 부채가 정부 재정의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고, 은행부문 수익성 악화가 지속될 경우 정부의 재정 지원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의 자체 신용등급이 낮고 비금융 공공기관에 대한 대출이 크다는 점도 지적했다.


S&P는 "'안정적' 신용등급 전망은 지정학적 위험이 크게 증대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에 바탕을 두고 있다"며 "향후 2년간 신용등급이 변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향후 신용등급 상향 요인으로 추가적인 성장을 통한 경제 성과와 안정성 강화를 제시했으며, 하향조정 요인으로는 북한과의 지정학적 긴장 고조를 언급했다.


S&P가 상향조정한 AA 등급은 전체 21개 등급 중에서 3번째로 높은 등급이다. 영국, 프랑스, 벨기에와 국가신용등급이 같지만 이들 국가의 전망이 부정적(negative)인 점을 감안하면 선진경제 수준의 국가신용등급을 갖게 된 셈이다.


또 최근 세계적으로 국가신용등급이 하향조정되는 추세라는 점을 감안할 때 S&P가 우리나라 국가신용등급을 상향조정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라는 분석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브렉시트 결정, 미국 금리정책 방향, 중국경제 둔화 가능성 등 글로벌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한국경제가 차별화되는 주요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으로 "향후 국내 금융사와 공기업 등의 신용등급 상승으로도 이어져 해외차입 비용 감소 등 대외안정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