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줄이긴 했지만…억소리 나는 '쩐당대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3초

줄이긴 했지만…억소리 나는 '쩐당대회' 2014년 새누리당 전당대회 전경
AD


[아시아경제 성기호 기자]새누리당의 새 지도부를 선출하는 8ㆍ9 전당대회가 한 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당권 후보들의 출마 선언이 속속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출마 선언만 한다고 후보가 되는 것은 아니다. 전대를 치르기 위해서는 결단력과 지도력, 지지 세력은 물론이거니와 '돈'도 중요한 요소다. 단일성 집단지도체제 도입으로 후보들의 부담이 다소 줄어들었지만 억소리 나는 '쩐'당대회인 것은 여전하다.

 우선 '전대 후보'라는 타이틀만 다는 데도 엄청난 비용이 들어간다. 새누리당은 후보등록 기탁금을 아직 결정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김무성 전 대표를 선출한 2014년 전대에서는 당 대표와 최고위원 선거가 분리되지 않아 일률적으로 후보등록 기탁금 8000만원을 받았다. 경선 과정에서 후보자 간 단일화와 개인적인 이유 등으로 중도사퇴 해도 한 번 납부한 기탁금은 돌려받을 수 없다. 새누리당 당헌ㆍ당규에 따르면 기탁금은 특별당비로 당에 귀속되며, 후보자가 사퇴할 때도 반환하지 않는다.


 이번 전대에서 후보들의 기탁금 부담은 조금 줄어들 전망이다. 당 혁신비상대책위원회가 단일성 집단지도체제 도입을 의결하면서 당 대표-최고위원을 분리 선출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이미 분리 방식으로 전대를 치르는 더불어민주당은 후보자 기탁금에 차등을 주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현 더민주)의 2015년 2월 전대 후보자 기탁금은 당 대표 7000만원, 최고위원 3000만원이었다. 최종 결정은 당 선거관리위원회에서 이뤄지지만 기탁금 제도의 변경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한 당직자는 "상식적으로 당 대표와 최고위원 후보 간 기탁금에는 차이가 있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혁신비대위에서 도입하기로 한 청년최고위원도 기탁금 부담을 덜 것으로 보인다. 지상욱 대변인은 7일 혁신비대위 회의 후 브리핑을 통해 "청년위원 같은 경우는 부담이 크다고 해서 차등 적용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혁신비대위가 '컷오프(예비경선)'를 도입하기로 하면서 본선에 진출하는 후보들만 기탁금을 내게 됐다. 더민주의 경우 예비후보자들에게는 등록비용으로 500만원을 받아 왔다.


 하지만 기탁금이 줄어든다 해도 후보들의 선거 비용 부담은 크게 덜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에서는 캠프 사무실 임대료와 운영비ㆍ공보물 제작ㆍ현수막ㆍ문자 발송비ㆍ비공식 자금 등 들어가는 돈이 많기 때문에 한 번 전대를 치르면 후보마다 차이는 있지만 최소 5억원 이상이 들어간다는 게 정설이다.


 새누리당은 후보등록 기탁금으로 2010년에는 8000만원, 2011년엔 1억2000만원을 받았다. 2012년 후보 부담을 줄이고 정치개혁을 이룬다는 명목으로 기탁금을 받지 않았지만, 2015년에는 선거비용 때문에 기탁금 제도를 다시 부활시켰다. 정당에서 이렇게 후보자들에게 기탁금을 받는 이유는 전대를 치르는 데 상당한 예산이 쓰이기 때문이다. 전대 및 후보자 합동연설 등을 위해 필요한 체육관 임대료ㆍ무대설치ㆍ음향설비 등에 드는 비용만 수억 원이 훌쩍 넘는다.


 중앙선관위에 위탁 운영하는 투표소에도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당직자는 "전국에 설치되는 투표소 운영비만 해도 최소 10억원 가까이 될 것"이라며 "여기에 문자ㆍ공보물 발송, 전당대회장ㆍ합동 연설회장 운영비 등을 계산하면 30여억원 이상이 소요된다"고 말했다.




성기호 기자 kihoyey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