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국 AI의 미래 50人 모은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국내 첫 민간연구소 설립 속도…최고 대우 연구인력 공채 계획


한국 AI의 미래 50人 모은다 박근혜 대통령이 3월17일 오후 청와대 충무실에서 열린 지능정보사회 민관합동 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AD


[아시아경제 강희종 기자]국내 첫 민간 중심의 인공지능(AI) 연구소 설립이 속도를 내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능정보기술연구소 설립추진단장으로 김진형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장을 임명하고 공식적인 설립 절차에 돌입했다고 20일 밝혔다.

이세돌 9단과 구글 알파고의 대국으로 AI에 대한 관심이 고조됐던 지난 3월 미래부는 박근혜 대통령에게 지능정보기술연구소 설립을 골자로 한 '지능정보산업 발전전략'을 보고한 바 있다. 이후 미래부는 관련 기관 및 참여 기업들과 3~4차례 준비모임을 갖고 김 소장을 추진단장으로 임명했다.


한국 AI의 미래 50人 모은다 김진형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장

추진단에는 미래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등 관련 기관과 예비 주주사 관계자들이 참여한다. 추진단은 곧 법인을 설립하고 소장ㆍ연구원ㆍ행정직 직원을 공개 채용할 계획이다.


특히 AI를 연구할 연구인력 50여명은 연봉 등에서 국내 최고 대우를 받는다.


김 단장은 "국내 대기업 이상의 최고 대우를 통해 인공지능 분야의 인재를 모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단장은 "AI 기술은 1~2년의 단기간에 성과를 내기 어렵고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고급 인재와 대학이 AI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추진단에는 당초 정부가 밝힌 6개 대기업(삼성전자ㆍLG전자ㆍSK텔레콤ㆍKTㆍ네이버ㆍ현대자동차) 이외에 금융 회사로는 유일하게 한화생명이 포함됐다. 로보어드바이저 등 금융 서비스에 AI가 접목되는 추세를 감안, 한화생명이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 대기업은 향후 기업당 30억원 가량을 납입해 지능정보기술연구소의 주주사로 참여하게 된다.


연구소는 주식회사 형태의 순수 민간 기업이지만 정부의 지원을 받는 만큼 공익적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올해 약 3개의 연구개발(R&D) 프로젝트를 착수할 계획이다.


추진단은 대기업 이외에 중소기업까지 문호를 개방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중소기업이 주주사로 참여할 경우 납입 자본금 부담을 줄여주되 그만큼 책임과 권한도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올해 상반기중으로 연구소 설립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연구소 위치는 정보기술(IT) 기업들이 밀집해 있는 판교가 유력시되고 있다.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