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日 정부·기업, 미래 먹거리 AI 키우기 '합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일본의 공장자동화 설비 및 로봇 업체 화낙이 문을 닫으면 삼성전자와 애플은 스마트폰의 금속 케이스를 만들 수 없다. 40%의 영업이익율로 금고에 1조엔이나 되는 막대한 현금을 쌓고도 로봇연구에만 몰두해 온 이 회사가 최근 집중 공략하는 분야가 있다. 바로 인공지능(AI)이다.


화낙은 최근 네트워크 장비 회사 시스코와의 협업을 통해 공장용 산업로봇을 네트워크에 연결, 원격으로 감시할 수 있는 '제로 다운 타임(ZDT)'을 공동 개발했다. 여기에 AI를 접목시켜 산업용 로봇이 사전에 입력된 프로그램대로 가동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처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화낙의 목표다.

일본이 미래 먹거리인 인공지능(AI) 산업 키우기에 나서며 국제 AI 경쟁 대열에 합류하고 있다. 정부는 규제 혁파를 위해 법제 정비에 나서고, 기업들은 경쟁사는 물론 해외기업과 적극적인 협력도 불사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오는 2020년까지 AIㆍ로봇 등 첨단산업 분야를 30조엔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시키겠다는 방침을 지난 19일 발표했다. 이 분야가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제시한 2020년 국내총생산(GDP) 600조엔 달성을 위한 견인차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에서다.

일본 정부는 2020년까지 고속도로에서 AI를 활용한 자율주행을 실현하고, 1만여개 중견ㆍ중소기업을 지원해 로봇 도입 비용을 20% 절감해주기로 했다. 2020년 이후부터는 초등ㆍ중학교에서 프로그래밍 교육을 필수화할 계획이다.


지난 18일에는 AI 연구와 산업화를 가속시키기 위해 총무성과 문부과학성, 경제산업성 등 3개 부처가 머리를 맞대고 '인공지능기술 전략회의'를 열었다. 정부 부처가 AI의 산업화와 관련된 전략회의를 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회의에서 정부 관계자들은 서구에서 AI 관련 연구개발 논문이 매년 발표되고 민간기업들의 투자가 활발한 것과 달리, 일본은 이 분야에서 크게 뒤처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향후 AI 관련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교육환경을 정비하는 한편, 연내 AI 연구개발 목표를 정하고 산업화를 위한 로드맵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AI 산업 발전을 위해 법규도 도입한다. 일본 정부 산하의 지적재산전략본부는 AI가 만든 음악ㆍ그림ㆍ소설 등의 저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법을 마련하고 있다. 현행 일본 저작권법은 사람이 창작한 작품만 저작권을 인정, AI의 창작물은 보호받을 수가 없다. AI로 만든 창작품도 보호하겠다는 계획이다.


기업들도 AI 키우기에 한창이다. 도요타 닛산 혼다 등 자동차 업체들은 정부와 함께 자율주행차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에 나섰다. 화낙은 AI를 활용한 공장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라쿠텐 등 유통업체들은 무인기(드론) 활용 배송을 준비하고 있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