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자고 나면 수천만원 오르네"…中대도시 집값 '고공비행'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4초

중국 1선 대도시 주택 가격 '천정부지' 치솟아
3~4선 소도시는 재고 넘쳐 양극화 뚜렷
증시 이탈 자금 부동산시장 유입세
中 당국 과열 분위기 감지…계약금 명목 대출 단속 나서기로
올해 대도시 부동산 규제 일부 완화+소도시 재고 털기 정책 강화할듯


"자고 나면 수천만원 오르네"…中대도시 집값 '고공비행'
AD

[아시아경제 김혜원 기자] #1. 중국 '경제 수도' 상하이시에서 400만위안(약 7억4000만원)짜리 집을 사려고 시세를 알아보던 한 남성. 인근 부동산 중개 사무소를 찾아갔더니 요새 매물이 없다며 420만위안으로 값을 올려 부른다. 순식간에 3000만원이 더 필요해졌다. 하루만 고민할 시간을 달라고 한 그는 방도가 없겠다 싶어 다음 날 계약을 하러 갔는데, 이번에는 430만위안을 줘야 한단다. 불과 며칠 사이 7억원대 중반이었던 집값이 8억원 가까이로 뛴 것이다.


#2. 중국 광둥성 광저우시의 신축 아파트 모델 하우스. 이른 아침인데도 쇼룸 입장을 기다리는 인파로 북적이고 있다. 제비뽑기에 성공한 한 여성에게 모델 하우스를 둘러보는 데 주어진 시간은 단 3분. 총 124가구의 평균 가격은 200만위안(약 3억7000만원)이었는데 30분 만에 계약이 끝났다.

중국 대도시 부동산 가격 급등세가 좀처럼 진정되지 않고 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은 15일 중국의 1선 대도시(베이징·상하이·광저우·선전)의 집값이 올해 들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며 주식시장에서 이탈한 자금이 부동산시장으로 이동하는 '머니무브'가 뚜렷하다고 보도했다.


가격 상승이 두드러진 곳은 선전시로, 지난 1년 동안 53%나 올랐다. 같은 기간 상하이시는 21%, 베이징시는 11% 정도 상승했다. 선전시의 경우 신축 주택의 90%가 초기 분양에 성공하고 있으며 상하이시에에서도 문의 차 부동산 중개 업체를 찾는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고 신문은 전했다.


문제는 이 같은 부동산 투자 열기가 대도시에 집중되면서 소도시에는 여전히 재고 물량이 넘쳐나는 데다 빚을 내 투자하는 일종의 '투기'에 가깝다는 데 있다. 선전시 중간 계층의 월평균 소득은 8000위안(약 146만원)인 데 반해 부동산 대출 상환에 쓰는 돈은 월 9000위안에 달한다는 통계도 있다. 일각에서 중국 부동산시장발(發) 거품 붕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중국 당국도 과열 분위기를 감지하고 대출 옥죄기에 우선 나섰다. 저우샤오촨(周小川) 중국 인민은행장은 지난 12일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기자회견에서 "부동산 초기 계약 용도의 대출이 이뤄져서는 안 된다"며 부동산 구입을 위한 초기 계약금 대출을 단속하겠다는 뜻을 명확히 했다. 이는 대도시의 주택 가격 안정과 금융 위험 완화를 위한 것이라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풀이했다.


판궁성(潘功勝) 인민은행 부행장도 "부동산 중개 업체와 개발 업체는 금융 사업을 할 수 없음에도 불법적으로 하고 있다"며 "이들이 개인간(P2P) 대출 업체 등과 연계한 금융 사업이 주택을 사려는 주민의 대출 부담 증가와 거시 정책의 효율성 약화를 초래했을 뿐 아니라 부동산시장 내 위험을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해 미분양 주택 면적이 전년보다 15% 증가한 7억여㎡에 이르는데, 이중 70%가 소도시에 있다"며 부동산시장 양극화 문제도 꼬집었다.


닛케이는 중국 현지 언론을 인용해 부동산 초기 계약금 대출 규모가 1조위안(약 183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파악하면서 금리가 10%를 웃도는 데도 이용자는 전체의 30%에 달한다고 전했다.


올해 중국 정부는 부동산 재고 해소에 정책의 무게중심을 두되 시장 양극화 문제를 간과하지 않을 것이란 전문가들의 전망도 나왔다. 김경환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중국의 낮은 도시화율과 가계의 레버리지 여력을 감안할 때 부동산 버블 붕괴를 논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중국 정부는 1~2선 도시의 가격 버블은 부분적 규제와 공급 확대를 통해 완화하고 3~4선 도시의 재고 버블은 수요 촉진과 가격 상승을 용인하는 차별화 전략을 취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설화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부동산 정책 기조는 여전히 재고 소진에 있다"며 "특히 전체 시장의 70%의 재고가 있는 3선 이하 도시에서는 여전히 부양 조치를 취해 재고 소진에 집중하고, 1선 도시의 가격 버블에 대해서는 조만간 일부 규제조치가 이뤄질 전망"이라고 판단했다.




김혜원 기자 kimhy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