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란 것이 내게 술을 권한다오.' 현진건의 소설 '술 권하는 사회'에 나오는 유명한 대사다. 남편이 새벽 두 시 넘어 인사불성이 되어 집에 들어오자 아내는 '누가 술을 이처럼 권했는가'라고 묻는다. 이 때 남편은 사회가 권한다고 대답한다. 술을 마시고 싶어 마신 게 아니라 식민지 조선의 절망감 때문에 술이라도 마시지 않으면 견딜 수 없다는 의미이다.
이 소설의 대사가 유명한 것은 '술 권하는 사회'가 대학입시를 위한 필독서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국어 수업이 그러하듯이 나 역시 내용이나 묘사에 대한 고민, 음미보다는 이 소설이 1921년 11월 '개벽'에 발표되었고, 3인칭 시점이고, 근대 사실주의 문학의 개척자인 현진건의 다른 소설은 '빈처' '운수 좋은 날' 등이 있다는 식의 그야말로 '사실'을 암기하는 데 급급했다.
그러나, 나이 들어 뒤늦게 그의 소설을 다시 찾아보면서 그가 43세의 젊은 나이에 요절했다는 것, 1936년 동아일보 사회부장 시절 손기정의 일장기 말소 사건으로 구속되어 1년간 복역했다는 것, 그리고 그 후 신문사를 떠나 양계로 생계를 꾸려야 했으며, 그의 소설 '조선의 얼골' 또한 금서처분을 받는 등 고난 속에서 1943년 세상을 하직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런 풍운아였던 그를 두고 '다음 중 현진건의 작품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와 같은 어처구니없는 국어 시험을 출제하는 후손이니 저승에서 또 그에게 술을 마시게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미안하기 그지없다.
식민지 시대는 현진건에게 술을 마시게는 했지만 대신 주옥같은 작품과 시대정신을 우리에게 남겨주었다. 하지만 그의 사후 70년이 지난 오늘의 한국 사회는 술을 권하는 것을 넘어 별 가치 없는 모방과 '허접한' 지식의 대량생산을 강요하고 있다.
모방은 지식인의 죽음을 의미한다. 지식인의 결집체인 대학사회는 다양성과 창의성을 생명으로 한다. 하지만 지금의 대학사회는 타인과 차별화된 창의적 연구를 하면 도태되는, 논문의 양으로 승부하는 자가 질로 승부하는 자를 압도하는 '질육양식(質肉量食)'의 시대에 돌입했다. 가히 지식 생태계의 붕괴라고 불러도 좋을 시대이다.
한국 대학에서 교수가 생존하려면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금과옥조를 지켜야 한다. 첫째, 아무도 읽지 않을 가치 없는 논문을 대량으로 써야 한다. 교수 사회에는 냉소적인 자조가 있다. '우리가 쓰는 논문을 읽는 사람은 딱 네 명이다. 세 명의 학술지 논문 심사자와 저자 자신이다.' 교수의 논문은 세 명의 심사자를 통과해야만 학술지에 실린다. 여기서 게재 확률을 높이려면 기존의 주류 연구를 벗어나서는 안 된다. 주류 연구를 벗어나는 순간 선행연구 부족이나 연구방법론 미비로 바로 탈락된다. 논문 탈락은 교수 승진 심사에서의 탈락을 의미한다.
둘째, 장기연구가 아닌 단기연구만 해야 한다. 해마다 일본에서 노벨상 수상자가 나오면 한국의 언론과 정부는 노벨상에 대한 대응책을 발표하며 소란을 떤다. 노벨상 수상자는 짧게는 20년에서 길게는 70년에 걸친 장기연구를 한 학자들이다. 그러나 한국에서 장기 연구는 곧바로 승진 탈락을 의미한다. 아무리 위대한 연구를 해도 양적 기준을 채우지 못하면 탈락하기 때문이다.
셋째, 학자의 철학적 기반이 담긴 책을 쓰면 안 된다. 2015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앵거스 디턴은 '위대한 탈출'이라는 명저를 남겼다. 논문이 단편이라면 명저는 장편 대하소설과 같은 영감과 감동을 준다. 그러나 한국의 대학은 아무리 훌륭한 저서, 해외에서 인정받는 뛰어난 책을 쓰더라도 업적으로 인정해 주지 않는다. 따라서 그럴 시간이 있으면 논문을 대량 생산하는 편이 훨씬 유리하다.
왜 대학이 이렇게까지 타락해 버렸을까. 이유는 간단하다. 양적 지표로 대학을 평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학은 저널에 게재된 논문 편수로 평가 받는다. 마치 수능 점수로 수험생을 평가하는 것과 같다. 오늘날 현진건에게 무의미한 논문을 대량 생산하라고 하면 또 밤늦게까지 술을 마실까. 씁쓸한 현실이다.
위정현 중앙대 경영학 교수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