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넷플릭스, 롯데와 손잡고 韓 공략 본격화

시계아이콘01분 43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롯데엔터테인먼트가 보유한 콘텐츠, 넷플릭스에 공급
타 영화사와도 공급 협상 진행…아직 관망중
넷플릭스 '단매' 등 불합리한 조건 제시…콘텐츠 계약 걸림돌


넷플릭스, 롯데와 손잡고 韓 공략 본격화 리드 해이스팅스 넷플릭스 CEO
AD


[아시아경제 강희종 기자, 이종길 기자]세계 최대 동영상 서비스 업체인 미국의 넷플릭스가 롯데와 손잡고 한국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선다.


29일 롯데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우리가 보유한 콘텐츠 거의 전부를 공급하는 조건으로 최근 넷플리스와 판권 계약을 체결했다"며 "넷플릭스의 검수 과정을 거쳐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최근 넷플릭스는 역린, 해적, 은교 등 롯데가 판권을 보유한 영화들을 속속 올리고 있다. 이 콘텐츠들은 한국에서만 볼 수 있다.


넷플릭스는 이달초 한국 서비스를 시작했으나 한국인들의 취향에 맞는 콘텐츠가 많지 않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넷플릭스는 CJ엔터테인먼트, NEW 등 영화사들과 콘텐츠 공급 협상을 벌여왔으며 이중 롯데엔터테인먼트와 처음 계약을 맺었다. 롯데 관계자는 "이번 공급 계약은 기존 개봉작에 한하며 앞으로 개봉하는 작품에 대해서는 새로운 협상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다른 영화사들은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 기존 IPTV 사업자들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는데다 국내에서 넷플릭스의 안착 가능성도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넷플릭스가 국내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한국인들의 구미에 맞는 콘텐츠 제공이 시급한 상황이다. 넷플릭스는 주로 자체 제작한 '오리지널 콘텐츠'와 해외 영화 및 TV 시리즈물들로 채워져 있다.


넷플릭스가 불합리한 조건을 제시하고 있는 점도 국내 콘텐츠 사업자들이 계약을 꺼리는 중요한 이유다. 익명을 요구한 국내 한 콘텐츠 업체 관계자는 "넷플릭스에 수익의 일정 비율을 배분하는 계약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했다"며 "넷플릭스는 영화 판매 금액을 정해 일괄 계약하는 방식인 '단매'를 고집했다"고 전했다.


단매는 콘텐츠 사업자 입장에서 한번 팔고나면 더이상 수익을 기대할 수 없는 조건이어서 받아들이기 어렵다. 게다가 넷플릭스가 구매한 콘텐츠를 어떻게 활용할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넷플릭스와 롯데는 단매 방식으로 계약했다. 넷플릭스는 당초 국내 미개봉작에 대해서도 계약을 요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진출에 앞서 넷플릭스는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등 국내 IPTV 사업자들과도 제휴 방안을 논의했으나 역시 불합리한 조건을 요구해 협상이 결렬된 바 있다. 넷플릭스는 9대1의 수익 배분을 요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인터넷데이터센터(IDC) 및 전용회선 사용료와 관련해서도 이견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 IPTV 사업자 입장에서는 불리한 조건을 감수하면서까지 잠재적 경쟁자인 넷플릭스와 손을 잡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결국 넷플릭스는 현재 미국에 서버를 두고 독자적으로 한국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때문에 넷플릭스 서비스가 불안정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넷플릭스 지난 1월7일부터 한국 서비스를 시작했다. 넷플릭스는 월정액 서비스로 기본형은 월 7.99달러, 표준형 월 9.99달러, 프리미엄 월 11.99달러의 요금을 받고 있다.


리드 헤이스팅스(Reed Hastings) 넷플릭스 CEO는 지난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2016에서 한국을 포함해 130개 국가에서 넷플릭스 서비스를 새로 시작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넷플릭스는 현재 전세계 190개 국가에서 서비스되고 있다.


넷플릭스는 2016년에 31개의 신규 TV 시리즈와 시즌, 24개의 오리지널 장편 영화 및 다큐멘터리, 다양한 스탠드업 코미디 스페셜, 30개의 오리지널 키즈 프로그램을 선보일 계획이다.


이번 신규 서비스 국가 확대와 함께 기존 17개 지원 언에에 한국어 중국어(간체 및 번체), 아랍어가 추가됐다. 중국에서는 아직 넷플릭스를 이용할 수 없다. 미국 기업에 대한 미국 정부의 규제에 따라 크림 반도, 북한, 시리아에서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


2007년에 서비스를 시작한 넷플릭스는 캐나다를 시작으로 남미, 유럽, 호주, 뉴질랜드, 일본을 포함한 60개 이상의 국가와 지역으로 서비스를 확대한 바 있다.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