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車키 주문하는 데 왠 주민증?"…생활속 개인정보 관리실태 점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아시아경제 김동선 기자]"자동차 키 분실로 추가 키를 주문하는데 운전면허증은 인증이 곤란하니 지문이 나오는 주민증과 건강보험증을 달래요."


"도시가스 개인번호 조회를 위해 사이트에 접속했더니 기존에 살던 분의 개인정보가 조회됩니다. 가스회사에서는 주소별로 정보를 관리한다고 해요."

지난해 6월과 7월 인터넷진흥원(KISA)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에 접수된 신고 내용이다. 이같은 개인정보 관리 소홀 사례는 생활 속에서 많이 찾을 수 있다.


정부가 이처럼 국민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산업물류분야의 개인정보 관리 실태 전반에 대해 점검에 나선다.

행정자치부는 28일 "내달 15일부터 26일까지 국민의 개인정보를 다량으로 취급하고 있으나 그동안 현장점검이 소흘했던 자동차관련 회사와 도시가스회사, 항공사, 백화점, 대형마트 등을 대상으로 집중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행자부는 자동차서비스 영업점의 개인정보도 자율점검을 통해 업체 스스로 지킬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번 점검분야는 개인정보 관리부실로 인해 유출과 노출 사고가 발생했거나, 국민들의 개인정보 침해신고·상담 혹은 언론보도 등으로 점검 필요성이 제기된 업종들을 선정됐다. 이들 분야에 대해 개인정보 보유규모, 개인정보 처리항목, 온라인점검결과 위반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현장점검 대상 업체를 선정할 계획이다.


중점 점검사항으로는 ▲개인정보 수집·제공 시 동의여부 ▲개인정보시스템의 안전조치 여부 ▲개인정보 취급자에 대한 교육 및 관리 여부 ▲개인정보의 수집·보관·파기의 적정성 등이다.


점검결과 법 위반사항이 적발된 업체에 대해서는 과태료 등 엄정한 행정처분을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2월 한달간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주관으로 행자부가 배포한 자율점검표와 점검 가이드라인에 따라 전국의 자동차서비스 영업점 총 5798개(판매점 2232개, 정비소 3566개)에서 각 업체가 자율적으로 점검한다.




김동선 기자 matthe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