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뷰앤비전]미래 파트너 베트남

시계아이콘01분 54초 소요

[뷰앤비전]미래 파트너 베트남 최성범 우석대 미디어영상학과 교수
AD

2015년에 출범한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TPP)은 급부상하고 있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미국이 주도한 다자간 자유무역협정이다. 어떤 면에선 중국이 주도하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설립에 맞서기 위해 서둘러 체결된 협정인 만큼 미국과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등이 주요 참여국인 건 너무 당연한 일이다. 참여국 가운데 가장 주목할 만한 나라는 베트남이다. 베트남은 이제 통일을 달성한 지 40년 만에 미국과 손을 잡고 세계무대의 전면에 나설 준비를 하고 있다.


실제 베트남의 최근 경제성장은 눈여겨 볼만하다. 베트남의 지난해 경제성장률은 6.68%에 달했다. 2006∼2010년 평균은 6,3%이었고, 2016년에도 6.7% 성장이 무난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엔 중국을 앞선 것으로 평가된다. 외국인 투자 확대와 제조업 호황이 주요 원동력이다. 아직은 월평균 임금이 197달러로 중국(613달러)의 3분의 1에 못 미치는 저렴한 임금이 장점이다. 중국에 진출했던 기업들이 이미 임금이 오를 대로 오르자 짐을 싸서 베트남으로 향하는 이유다. 그러나 베트남의 장점은 단순한 저임금에 머무르지 않는다. 인구 8000만명의 거대시장에다 젊은 인구 비중이 높아 성장가능성이 높다는 큰 장점이 있다. 정치적으로 동남아 지역의 맹주이기도 하다. 한마디로 20여년 전 중국의 모습이 연상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삼성전자가 하노이에 휴대전화 해외기지를 구축해 휴대전화의 40%를 생산하면서 베트남 수출의 18%를 차지하는 등 국내 대기업들의 진출이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것도 이러한 전략적 선택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물론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비교하자면 베트남이 조금 뒤처져 보이는 게 사실이다. 중국처럼 자신 있게 개혁 개방의 길로 치달리지도 못했던 게 일차적인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1986년에 경제쇄신 정책인 도이모이를 시작했지만, 1994년에야 미국의 경제제재가 해제된 정치적인 요인도 있다. 또한 국내적으로 개혁 개방에 대한 저항감이 만만치 않다는 요인도 존재한다. 중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장 규모가 작았던 것도 중국처럼 두 자릿수 성장을 하지 못한 이유이다.


그러나 베트남 경제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흔히 말하는 저임금, 시장규모의 잣대만으로 평가하기 힘들다. 자신들만의 중심을 잃지 않았기 때문이다. 경제 성장과 물가안정을 조화시키려는 노력이 돋보인다. 베트남도 외국인 투자가 몰려들면서 물가상승으로 몸살을 앓았던 적도 있었으나 곧 바로 안정시책을 취함으로써 중심을 잡았다. 2006∼2010년 기간 중 11%에 달했던 소비자물가상승률은 2012년 9%, 2013년 6.6%, 2014년 4.3%로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베트남 특유의 인내심을 발휘해 성장과 안정을 조화시켰다는 평가를 해도 무방할 듯하다.

베트남 경제의 이러한 안정감은 최근 들어서 저력을 발휘하고 있는 듯하다. 최근 다른 동남아 국가들이 성장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는 것과 대조적이어서 베트남이 각광을 받고 있다. 중국이 두 자릿수의 고도성장을 질주해 오다가 2014년 성장률이 7.6%, 2015년 7% 이하로 급락하면서 경기침체의 몸살을 앓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물론 베트남 경제가 가야 할 길은 아직도 멀다. 1인당 GDP가 2015년 기준 2233달러이고 산업은 직물, 신발, 봉제 등 이른바 경공업 위주다. 그러나 최근 삼성전자의 하노이 공장에서 볼 수 있듯이 기술력을 갖춘 외국인투자가 몰려들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베트남이 세계의 공장으로 떠오르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봐야 한다. 사실 중국도 90년대 중반까지는 뭐 하나 제대로 돼 있는 게 없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알 수 있다. 베트남 정부의 경제전략 목표는 2020년에 1인당 국민소득 3000달러에 도달하는 것이다.


현재의 기세라면 10여년 뒤 베트남의 모습은 상전벽해가 되어 있을 게 확실하다. 1970년 한국의 모습처럼 열심히 일하는 젊은이들이 많은 여건 하에서 TPP가입을 계기로 국가가 수출주도형 경제로 이행하는 정책을 보다 과감하게 추진한다면 더욱 그렇다. 중국의 부상이 제조업의 위기를 맞고 있는 한국으로선 단순한 생산기지 차원을 넘어서 베트남과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중국과는 불가근불가원의 관계를 갖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최성범 우석대 미디어영상학과 교수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