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그럼 도대체 언제 전국 1시간 내 출동 체제가 갖춰진다는 말씀입니까?"
"갖춰졌다고 (기사) 쓰지 마시고, 추진 중이라고 쓰시면 되죠."
지난 23일 국민안전처 간부들과 기자들이 주고받은 대화의 일부다. 다음날 국무회의에 상정된 특수구조대 4곳 추가 설치에 대한 질의ㆍ응답 중 나온 얘기였다. 핵심은 특수구조대가 추가 설치되면 지난해 박근혜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 직후 약속한 대로 대형 재난ㆍ사고시 전국 어디든지 30분~1시간 이내 출동ㆍ구조할 수 있는 체제가 완비되냐 였다. 하지만 이날 기자들과 만난 안전처 관계자들은 긴급 출동 체계 완비 시점에 대해 쉽사리 확언하지 못했다.
일단 지난 24일 국무회의에서 통과된 안전처 직제 개정안에 따라 4개 특수구조대가 추가 설치되는 것은 맞다. 12월 초 공포와 함께 시행되는 대로 육상 구조를 담당한 119특수구조대 2개, 해양 특수구조대 2개가 새로 생긴다. 수도권ㆍ영남 권역에 각각 설치돼 있던 119특수구조대는 호남, 충청ㆍ강원 권역에 각 1개씩 추가돼 총 4개로 늘어난다. 중앙에만 있었던 해양특수구조대는 서해ㆍ동해 권역에 각 1개씩을 더해 총 3개가 된다.
인력과 개인 장비도 바로 배치된다. 신설되는 호남 및 충청ㆍ강원 권역 담당 119특수구조대에는 각각 46명의 인력이 일하게 된다. 광주광역시ㆍ충남 천안시에 임시청사가 생긴다. 소방 헬기와 무인기, 수중로봇, 화학물질 탐지기, 특수소방차량 등 최첨단 인명구조장비를 갖춘다. 서해ㆍ동해 담당 해양특수구조대에는 각각 37명, 21명이 배치된다. 이들은 서해해양경비안전본부 전용부두, 동해해양경비안전서 함정복지관을 각각 청사로 활용한다. 잠수복ㆍ구조정, 대형 헬기2대, 중형 헬기 5대 등 기존 배치 헬기도 활용할 계획이다.
문제는 그 외의 걸림돌이다. 긴급 출동을 하기 위한 준비는 갖췄지만 정작 타고 출동할 대형 헬기가 부족한 현실은 변함이 없다. 지난 10월 초 발생한 추자도 돌고래호 침몰 사건때와 마찬가지로 특수구조대를 태우고 출동해 현장에서 구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대형헬기는 중앙119특수구조대ㆍ중양해양특수구조대에 배치된 두 대 밖에 없다. 나머지 5개 특수구조대에 배치된 헬기는 중형AS365, 카모프, 팬더 등 중소형 기종으로 한계가 많다. 항속 거리가 짧고, 힘이 부족해 구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비를 실어나를 수 없거나 기능(호버링 능력)이 제한돼 있기 때문이다.
아직 청사가 없어 컨테이너 생활을 해야 하고 훈련 시설도 소방학교ㆍ해경 특공대 등에 '더부살이'를 해야 하는 점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어떤 위험 상황에서도 완벽히 임무를 수행해야 하는 특수구조대원들에게 필수적인 훈련이 부족하다면 원활한 구조 작업에 차질이 생길 수 밖에 없다.
결론적으로, 앞으로 2~3년 동안은 일부 지역의 경우 '전국 어디서든' 1시간 이내 출동해 완벽한 구조작업을 수행하는 게 여전히 불가능하다는 게 안전처 관계자들의 고백이다. 가장 필수적 장비인 헬기(대형 2대ㆍ중형 2대) 구입을 마치려면 앞으로도 최대 4년 정도는 걸린다. 이중 대형 헬기 1대는 내년 초 도입돼 호남119특수구조대에서 사용하며, 나머지 1대는 내년 말까지 도입돼 서해해양특수구조대에서 사용할 계획이다. 중형 헬기 2대는 2019년 초까지 도입해 동해해양특수구조대에서 이용하기로 했다. 청사ㆍ훈련시설의 경우 내년부터 건설에 들어가 최소 2~3년의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