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강구귀 기자] 은행들이 잇달아 입금을 반납하고 있다. 지난 9월 초 금융지주 회장들의 임금 반납을 시작으로 KEB하나은행, KDB산업은행에 이어 수출입은행 직원도 동참했다.
공식적인 이유는 경영 악화에 대비한 선제 노력이다. 하지만 지난 12일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은행권 성과주의 문화 확산을 금융개혁 최종과제로 공식화한 만큼 배경에 귀추가 주목된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6일 KEB하나은행의 외환은행 출신 직원들이 올해 임금상승분 2.4%를 반납했다. 이번 합의가 적용되는 직원은 옛 외환은행 출신 6900여명으로, 옛 하나은행 출신 직원들은 해당되지 않는다. KDB산업은행도 팀장 이상 직원들의 올해 임금인상분을 전액 반납하기로 결정했다. 특히 홍기택 산업은행 회장은 올해 세금과 기부금 등을 제외한 기본급을 전액 반납하기로 했다. 홍 회장에게 책정된 올해 기본급은 1억9152만원이다. 수출입은행은 지난 6일 인사경영지원단과 노동조합 구두 합의를 통해 전 직원의 11월~12월 시간외 수당을 지급하지 않고, 의무 연차휴가 기간은 5일에서 7일로 늘려 수당 지급을 줄인다.
은행들의 임금 반납은 최근 금융당국을 중심으로 은행권의 고임금·저효율성 문제가 논란에 오른 것과 무관하지 않다. 정부는 최근 국책은행을 중심으로 은행권의 임금체계를 바꾸겠다는 뜻을 수차례 시사했다. 이 과정에서 은행권 특유의 연공급 임금체계와 고임금 구조, 저생산성에 대한 논쟁이 화두로 떠올랐다.
과거 은행권 연봉 반납이 있었던 것은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이다. 당시 시중은행들은 5% 연봉인상분 반납, 산은 등 국책은행은 5%를 삭감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번 임금 반납은 겉으로 드러난 이유와 달리 최근 금융권을 둘러싼 당국의 압박이 더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시각이 우세하다”고 말했다.
강구귀 기자 ni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