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원규 기자]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는 요즘, 내년도 전망에 대해 벌써부터 비관론이 우세하다. 눈에 띄게 개선될만한 근거가 미약하고 저성장·저금리 국면에 대한 정책 피로도가 누적된 것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경제 위기 때마다 각국의 중앙은행들은 통화완화 정책을 단행했지만 목표했던 성장과 인플레 회복에는 한참 못 미쳤다는 게 전반적인 시장의 평가다. 이미 통화완화 카드를 사용한 만큼 이제는 정부와 기업들의 자구 노력에 주목할 때라는 분석이다.
◆허진욱 삼성증권 연구원= 내년 주요국 경제전망이 미국을 제외하면 2올해와 유사하게 저성장·저물가 구조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한다. 저성장의 첫번째 배경에는 선진국 양적완화정책의 영향 감소가 예상된다. 이어 신흥국 구조개혁 지연에 따른 수요 둔화와 연준의 금리인상 우려로 인한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되고 있다. 특히 중국 성장전략 변화에 따른 성장둔화 심화되고 있는 것도 해결되지 않은 과제다. 마지막으로 원자재가 급락에 따른 자원수출국의 경기침체가 지속되고 있다.
아울러 G2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 금리인상 충격과 중국 경기둔화의 영향에 대해 금융시장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연준의 금리인상 선택이 자칫 일부 신흥국의 경제위기로 연결될 경우 세계 경제의 경착륙까지 예상될 수 있다. 중국도 구조개혁 과정에 있기 때문에 2008년과 같은 공격적인 부양정책을 선택하기 어려울 것이다.
◆허재환 KDB대우증권 연구원= 생존게임 불가피하다. 그러나 위기를 동반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이 높아지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공급조정은 투자, 고용, 통화량 감소를 의미한다. 이 과정에서 일부 기업과 산업들에 대한 위험요인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그러나 2008년과 같이 통제력을 잃어버릴 정도는 아니라고 판단된다. 우선 중국 등 신흥국 경기 둔화가 연쇄 도산 위험을 발생시킬 가능성은 크지 않을 전망에서다. 중국 재고 부담도 올해보다 완화되면서 유가 등 일부 원자재 가격의 급락 가능성이 낮아졌다. 또 미국 임금 상승 가능성 등 선진국 소비는 완만하게 개선될 수 있다.
내년 상반기까지는 금융시장 불안은 제한적일 전망이다. 중국과 신흥국의 동반 침체는 피할 수 있어서다.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신흥국 자본조달 구조가 내부 위주로 변했기 때문에 신흥국 경기 둔화가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치명적이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날 주요국증시=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유가 하락과 대형 백화점 실적 부진 등에 영향을 받으며 하락했다.
11일(미국시간) 장 마감무렵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는 전장보다 57.53포인트(0.32%) 하락한 1만7700.86에 거래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은 전장보다 6.82포인트(0.33%) 내린 2074.90에, 나스닥은 16.22포인트(0.32%) 하락한 5067.02에 움직였다.
김원규 기자 wkk091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