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우조선해양, '올해의 10대 기계기술' 2년 연속 수상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2년 연속 '올해의 10대 기계기술'을 수상했다.


대우조선해양은 회사가 개발한 '대용착 수평자세 자동용접기'가 '2015 올해의 10대 기계기술'에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올해의 10대 기계기술은 한국기계기술단체총연합회가 국내에서 개발된 기계분야 우수 기술을 대외에 알리기 위해 2013년 제정한 상이다. 대우조선해양 중앙연구원은 지난해 천연가스 추진 선박의 핵심 기술인 'LNG 연료공급시스템'으로 같은 상을 수상한 바 있다.


대우조선해양, '올해의 10대 기계기술' 2년 연속 수상 ▲지난 28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15 올해의 10대 기계기술’ 시상식에서 대우조선해양 우종식 상무(왼쪽)와 김영주 차장이 수상을 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AD

이번에 수상한 대용착 수평자세 자동용접기는 전세계 조선소의 숙원인 수평용접 자동화를 실현한 기술이다. 수평용접은 선체 내부 바닥으로부터 10~45㎝ 높이에 있는 이음부를 10~15회 용접하는 열악한 작업으로 용접생산성을 향상시키는건 불가능한 일로 여겨져왔다.


이에 대우조선해양은 2012년부터 중앙연구원 산업기술연구소를 주축으로 혁신TFT를 구성했고 기존 내부에서 하던 용접작업을 선체 외부에서 용접하는 방식의 발상의 전환으로 자동용접기를 개발했다.


대용착 수평자세 자동용접기는 1회 용접으로 전체 용접면적의 90% 이상을 용접할 수 있으며 길이 20~50m 연속 작업 중 이음부 틈새가 4~14mm 변동해도 자동으로 용접 조건을 적응·제어하며 작업을 완료한다. 대우조선해양은 세계 6대 선급(미국 ABS, 노르웨이 DNV, 프랑스 BV, 일본 NK, 영국 LR, 한국 KR)로부터 신기술에 대한 용접시공 승인을 받아 실제 선박 건조에 활용 중이다.


이 기술은 12척의 선박 건조에 적용한 결과 기존 수동 용접 대비 소요시간, 결함율, 생산성 측면에서 큰 성과를 거뒀다. 같은 양을 작업할 때 용접 소요 시수가 1/5로 감소했고 결함율 또한 2.5%에서 0.15%로 개선됐다. 이를 바탕으로 탑재 공정의 생산성이 10%가량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상식에 참석한 개발책임자 우종식 상무(중앙연구원 산업기술연구소장)는 "세계 최초로 개발 및 상용화한 수평용접 기술이 대한민국 10대 기술에 선정됐다"며 "앞으로도 신기술 개발에 매진해 세계 1등 조선소 대우조선해양의 위상을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