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피케티·디턴, '불평등 대탈주' 그 길을 묻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피케티·디턴, '불평등 대탈주' 그 길을 묻다
AD

[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21세기 자본(Capital in the twenty-first century)'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았던 토마 피케티(Thomas Piketty)와 올해 노벨 경제학상을 받는 '위대한 탈출(The great escape)'의 저자 앵거스 디턴(Angus Deaton).


두 경제학자는 지난 300년 간 자본주의 태동과 발전과정을 깊숙히 고찰하고, 그 과정에서 불평등이 어떻게 심화됐는지를 각각의 경제학적 분석을 통해 증명한다. 두 사람의 이론은 정육점과 채소가게의 관계와 비슷하다. 육식주의자나 채식주의자가 아니라면 삼겹살을 사고 곧바로 쌈채소를 구입하듯 한 사람의 이론만으로는 복잡하고 다양한 자본주의 발전과정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상호보완적 관계이기도 하다.

"자본의 수익률이 생산과 소득의 성장률을 넘어설 때 자본주의는 자의적이고 견딜 수 없는 불평등을 자동적으로 양산하게 된다. 19세기에 이런 상황이 벌어졌으며, 21세기에도 그렇게 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보인다."(피케티)


피케티는 과도한 자본 수익률이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것은 물론 시장의 원활한 작동을 막는다고 분석했다. 때문에 자산의 상속문제를 불평등 해결의 키워드로 봤다.

"세계 모든 인구의 평균소득이 1820년부터 1992년까지 7∼8배 증가했고, 극빈층 비율은 84%에서 24%로 감소했다. 하지만 18세기에는 나라 안에서 부유한 지주인 귀족과 서민 사이의 불평등이 대부분이었는데, 오늘날에는 개인 간 소득격차는 물론 국가 간 격차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디턴)


디턴은 경제성장으로 많은 사람이 질병과 죽음으로부터 '대탈출'에 성공했지만 개인 간, 나라 간 소득불평등은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선진국과 후진국 간의 격차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원조의 문제점과 해법 모색에 몰두한다.


두 사람은 '불평등이란 숙제를 한 꺼풀씩 풀어내고 보다 진화한 경제시스템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희망을 감추지 않는다. 피케티는 "경제의 개방성을 유지하고 보호주의적이며 국수주의적 반발을 피하면서 민주주의가 자본주의에 대한 통제력을 되찾고 공동의 이익이 사적인 이익에 앞서도록 보장할 수 있는 방법들이 없는 것은 아니다"고 했다.


디턴도 "부의 엄청난 집중 현상은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창조적 파괴의 숨통을 막아 민주주의와 성장의 기반을 약화시킬 수 있다. 그렇다고 해도 나는 조심스럽게 낙관한다. 탈출 욕구는 깊이 뿌리내리고 있으며 쉽게 좌절되지 않을 것이다"라고 피력했다.


두 사람 모두 자신의 이론이 불완전하고 미완성이라고 강조한다. '어떻게 불평등을 해소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해답 찾기는 현재진행형이다.




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