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채권단 지원 급해"…고민 깊어지는 대우조선 노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8초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올해 5조원 적자가 예상되는 대우조선해양 정상화의 키를 쥐고 있는 대우조선해양 노동조합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채권단의 '임금동결·파업포기' 요청에 일단 반대하고 나섰지만 자금수혈이 한시라도 빨리 이뤄져야 하는 급박한 상황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은 채권단의 지원 없이는 당장 다음달부터 정상적인 경영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우선 다음달 말 3000억원 규모의 회사채를 갚아야 한다. 직원 월급 등 인건비, 협력사 대금 지급, 선박 건조 자금 등 매달 지출되는 운영자금도 해결해야 한다.

국회 정무위원회에 따르면 연내 만기 도래하는 대우조선해양 채무 규모는 1조2000억원 수준이다. 11월 만기 도래하는 회사채를 자체 보유한 자금으로 상환한다 하더라도 이후 도래하는 회사채를 갚아나가기에는 회사 유동성 사정이 역부족이다. 지난 7월 만기 도래한 2000억원의 회사채와 이번달 임금 역시 간신히 마련했다.


특히 노조의 반대로 채권단 지원이 계속해서 지연될 경우 금융권은 여신 만기 연장을 거부하거나 여신 회수라는 초강수를 둘 가능성도 있다. 워크아웃 혹은 법정관리 등 최악의 상황도 우려된다.

업계에선 노조가 반대하는 이유를 이해하지만 지금은 대승적인 차원의 양보가 필요한 때라고 지적한다. 업계 관계자는 "채권단은 회사 정상화에 속도가 날 수 있도록 마찰 가능성을 사전 차단하겠다는 의도겠지만 노조 입장에서는 법이 보장한 권리를 포기하라는 얘기로, 상당히 자존심 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하지만 지금은 자존심 보다 실리를 챙겨야 할 때"라며 "회사를 살리는게 더 급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