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부천·대전 이어 대구·광주에도 서민금융 통합지원센터 개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6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햇살론·미소금융·바꿔드림론·새희망홀씨 등 한 곳에서 서민금융 상품 상담 받을 수 있어

[아시아경제 이현주 기자] 경기도 부천과 대전에 이어 대구와 광주에도 서민금융 통합지원센터가 개설된다.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는 한 자리에서 서민금융 관련 종합 상담과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곳이다.


16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서민금융협의회는 연내 대구와 광주에 통합센터를 열고 부산, 인천 등 다른 광역시에 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협의회 사무국 관계자는 "기존 광역시에 있는 서민금융 지원센터를 확장하면서 유관기관의 기능을 한 곳으로 모으고 있다"라며 "현장에서 종합상담, 지원, 사후관리까지 한 번에 받을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민금융 통합지원센터는 지난해 11월 부천에서 가장 먼저 문을 열었다. 통합지원센터는 현장에서 대출과 채무조정 관련 종합 상담부터 지원, 사후관리까지 한 번에 받을 수 있도록 지역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금융감독원과 신용회복위원회,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미소금융재단 등이 참여한다.


통합지원센터에서는 햇살론, 미소금융, 바꿔드림론, 새희망홀씨 등 다양한 서민금융 상품 상담을 한 곳에서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서민금융 유관기관의 상담 창구만 모아 놓은 것으로 행정적으로는 분리돼 운영된다. 햇살론과 새희망홀씨는 각각 저축은행과 은행에서 대출이 진행되기 때문에 한 곳에서 지원을 받지 못할 경우 지원 대상자는 같은 서류를 중복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는다.

금융위원회는 이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현행 서민금융 지원 관련 법률인 '휴면예금관리재단설립법'을 전부 개정해 정식적인 통합 기구 '서민금융진흥원' 출범을 준비하고 있지만 야당의 반대에 부딪혀 개정안은 계류 돼 있다. 사실상 연내 법안 통과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야당 의원들은 햇살론, 미소금융 등 대출과 신복위의 채무조정 업무가 겸임되면 이해상충의 우려가 있다며 법 개정에 반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서민금융 유관기관들이 한 곳에 모여 운영되는 것이 더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단순 금융 상담 뿐만 아니라 향후 복지제도 연계할 수 있는 가능성도 높고 연 10% 후반 중금리 대출 상품도 내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에서 대출을 받지 못하면 바로 저축은행이나 대부업을 많이 방문하게 되는데 총괄기구를 통하면 성실 상환자들은 징검다리 제도 등을 통해 중금리대 대출도 가능해진다"고 말했다.



이현주 기자 ecolhj@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현주 기자 ecolhj@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