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015 국감]농협은행, 부동산PF 부실채권 9500억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5초

[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 농협은행이 보유한 부동산PF 중 부실채권이 9500억원으로, 37%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황주홍 새정치민주연합 의원(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이 농협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 8월말 기준 농협은행의 부동산PF보유잔액은 2조 5767억원이고 이 중 9449억원이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 NPL)으로 집계됐다.

일반적으로 금융기관의 여신은 자산건전성 분류기준의 건전성 정도에 따라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의 5단계로 나뉜다. 이중 ‘고정여신이하의 부실여신’ 즉 고정(연체 3개월 이상), 회수의문, 추정손실(연체 1년 이상)을 ‘부실채권’이라 한다. ‘고정이하 여신’의 비율은 은행의 자산건전성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이다.


특히 올해 상반기까지 부동산PF 보유잔액은 2조7423억원으로 KB국민은행(7274억원)의 3.77배, 신한은행(7690억원)의 3.57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체비율은 8.71%로 일반 시중은행 중 최상위에 해당하며 0.59%를 기록한 우리은행에 비해서는 14.8배나 높았다.


농협은행은 이에 대해 "금융위기 이전 부동산PF대출에서 부실채권이 발생한 것이지 2009년 이후 신규대출에는 부실채권이 없다"고 해명했다.


황 의원은 "일반 시중은행도 유사한 조건이었지만 부실채권을 해결하여 연체비율이 낮다는 점에서 농협의 해명은 납득이 어렵다"며 "여신심사기능을 강화해 부실채권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은정 기자 mybang2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