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최경환, 7~10일 한중일·G20회의·IMF연차총회 참석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5초

[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오는 7일부터 10일까지 페루 리마에서 열리는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 및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에 참석한다.


특히 이번 회의를 계기로 한중일은 현지에서 3국 재무장관회의를 갖고, 상호 협력방안 등을 논의할 계획이어서 주목된다.

7일 출국하는 최 부총리는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에 앞서 8일 오후 한중일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에 참석한다. 지난 5월 아제르바이잔 바쿠 이후 5개월만에 개최되는 이번 회의에서 3국은 각국의 거시경제·금융시장 동향, 주요 정책대응 방향과 역내 금융협력 강화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정책공조 방안 등을 협의할 계획이다.


최 부총리는 이어 8일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업무만찬'에 참석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최근 세계경제 여건과 정책공조 방안을 논의하고 국제조세개혁 등 정상회의 성과물을 최종 점검할 예정이다. 특히,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들은 국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지난 2년에 걸쳐 논의해 온 국제조세회피(BEPS) 대응방안을 보고받고 이를 확정한다.

최 부총리는 최근 중국 등 신흥국 경기둔화 우려와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에 따른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세계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지적하고 G20 차원의 실효성 있는 정책공조 방안 마련을 촉구할 계획이다. 또 BEPS 대응방안을 회원국이 차질없이 이행하고 앞으로도 디지털경제 확산 등 경제환경 변화에 맞춰 국제조세개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10일에는 WB 개발위원회(Development Committee)에 참석해 글로벌 개발 이슈를 논의한다. WB 개발위원회는 개발도상국 경제발전을 위한 재원이전 등을 논의하는 IMF·WB 공동 자문기구로, 통상 WB 이사국 대표가 참석한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11월부터 이사국을 맡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지난 9월 UN 개발정상회의에서 채택된 '2030 지속가능한 개발목표'를 위한 전세계 개발전략에 대해 김용 WB 총재를 비롯해 미국, 영국, 독일, 일본 재무장관, 중국 인민은행 총재 등 25명의 주요국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들이 논의를 갖고 공동선언문을 채택할 예정이다.


최 부총리는 이 회의에서 2030 목표 달성을 위해 WB가 역점을 둬야 할 역할을 제언한다. 최근 우리나라가 가입의사를 표명함으로써 아시아 역내 인프라 시장에 대한 교두보 역할을 기대하고 있는 아시아 인프라개발은행(AIIB)와의 협력 강화를 주문하기로 했다. 또 우리나라와 같이 개도국에서 선진국으로 성공적으로 발돋움한 국가들의 개발경험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활용할 것을 제안하면서 한국의 사례들을 소개할 계획이다.


최 부총리는 이번 회의를 계기로 WB 총재, 미국·이란 재무장관 등과 만나 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주요 외신과 스탠더드앤푸어스(S&P), 무디스(Moody’s) 등 국제 신용평가사들을 만나 우리 경제여건과 정책방향 등을 설명하는 일정도 소화한다.



세종=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