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광물자원公 국내 광물 투자손실 지난해 160억"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한국광물자원공사가 국내 광물투자로 지난해 159억원을 손실을 본 것으로 확인됐다.


8일 광물자원공사가 박완주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에게 제출한 '국내 광산 및 광물가공사업 투자현황'에 따르면 공사가 투자한 7개 광물가공업체 가운데 6개사가 지난해 적자를 기록했다.

몰리브덴을 가공하는 혜인자원은 광물자원공사가 31억원을 들여 지분 49%를 인수했지만 지난해 29억원 적자를 기록하는 등 최근 5년간 171억원 적자가 누적됐다.


세아M&S는 2010년에만 288억원, 2011년 40억원, 2012년 22억원, 2013년 23억원, 2014년 32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하고 있다. 황산니켈과 코발트를 생산중인 에너켐도 공사가 170억원을 투자해 42.5% 지분을 갖고 있는데 지난해 적자가 41억원이다.

22억원을 투자해 45% 지분을 확보한 지엠씨도 그동안 누적된 적자가 39억원이다. 37억원을 투자한 영우자원 또한 2013년까지는 유일하게 흑자를 내고 있었지만, 지난해 당기순손실 14억원을 기록했다.


유일한 흑자업체도 수익규모는 1억원에 불과했다.


특수 알루미나를 생산하는 한국알루미나는 공사가 2008년 147억원을 들여 지분 49%를 매입, 지난해 1억원 흑자를 냈다. 그러나 2010년 15억원을 비롯해 2011년 9억, 2012년 20억, 2013년 30억 등 최근 5년간 73억원의 누적적자를 기록중이다.


박 의원은 광물자원공사가 투자에서 대부분 실패한 것은 M&A의 기본조차 지키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사회 부의당시 경제성 평가에 따른 사업의 수익성을 보면 내부수익률이 최고 64.5%(혜인자원)에서 최저 14.4%(영우자원)에 이르는 등 높은 현금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실제로는 적자가 심화됐다.


공사도 '국내투자사업 운영관리 실태 점검'을 통해 "투자사업 업무표준관련 투자심의위원회 절차 규정을 위반했다"며 "경제성 평가 및 사업 준공예상 등에 대한 검토가 부족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아울러 국내 투자사업의 공사기간 역시 최초 이사회 보고 대비 상당기간 지연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문제점이 지난 국감에서도 지적됐지만 광물자원공사는 여전히 매각실적이 전무해 사실상 손을 놓고 지금 이 순간에도 확대되는 손실을 혈세로 메우고 있다고 박 의원은 강조했다.


이에 광물자원공사의 부채는 2013년 3조3213억원에서 지난해 3조7500억원으로 늘어났다. 지난 5년간 독자 신용등급은 무디스에서 B3, S&P에서 BB등급으로 투자부적격 등급을 받았다.


박 의원은 "부실한 검토로 대규모 손실이 발생했는데도 대책을 새우지 않는 것은 혈세로 이를 메워주기 때문"이라며 "자력으로 이를 해결하지 못하면 해산 또는 합병을 고려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