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전남도, 가을철 쯔쯔가무시증 등 발열성질환 주의 당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6초

“야외 활동 시 긴 소매 옷 입기 등 예방수칙 적극 홍보”

[아시아경제 노해섭 기자]전라남도(도지사 이낙연)가 쯔쯔가무시증 등 가을철 발열성질환이 등산, 벌초 등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추석을 전후한 9~11월 집중적으로 발생할 것에 대비해 야외 활동을 할 때는 긴 소매 옷 입기 등 예방 홍보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29일 전라남도에 따르면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 신증후군출혈열 등 가을철 발열성질환 환자는 예방교육과 홍보에도 불구하고 매년 늘고 있다. 2013년 1천 385명이었던 발열성질환 환자는 지난해 1천 437명으로 약간 늘었으며 올 들어서도 8월 말 현재까지 96명이 발생했다.

쯔쯔가무시증은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감염된다. 발열성질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장 주의해야 할 가을철 열성질환이다. 증상은 유충에 물린 자국(가피)과 함께 두통·발열·근육통 등을 동반하며 일시적인 뇌신경 마비가 올 수 있다.


신증후군출혈열은 쥐의 배설물이 건조돼 공기 중에 날리면서 호흡기를 통해 감염된다. 발열, 고열, 심부전, 출혈 등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발열질환이다.

렙토스피라증은 감염된 동물의 소변 등의 접촉을 통해 감염된다. 가벼운 감기 증상에서 치명적인 웨일씨병까지 증상이 다양하다.


열성질환은 아니지만 작은소피참진드기를 매개로 하는 증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도 도민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논밭 작업이나 성묘, 벌초 등 야외작업을 할 때 기피제를 뿌리거나 긴소매, 긴바지, 양말을 착용하고, 야외활동 후에는 샤워나 목욕을 하고 옷은 반드시 세탁해야 한다.


두통, 고열, 오한과 같은 심한 감기 증상이 있거나, 벌레에 물린 자국이 있으면 가까운 보건소나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 증상을 방치하고 적기에 치료받지 않을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전라남도는 가을철 열성질환 예방을 위해 쯔쯔가무시증이 많이 발생하는 도내 14개 시군을 집중 예방관리 지역으로 선정해 지원하고 있다. 야외활동이 많은 농업 종사자, 등산객 등 지역 주민 42만 명을 ‘감염 우려계층’으로 분류해 시군 보건소에 9월 초까지 예방교육을 완료토록 했다. 마을방송, 반회보 등을 통한 주민 예방교육도 지속적으로 실시토록 했다.


강영구 전라남도 보건의료과장은 “이들 질환은 특별한 예방백신이 없어 감염원에 노출되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책”이라며 “야외활동을 할 때 예방수칙을 꼭 지키고, 증상이 있으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치료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노해섭 기자 nogar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