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북확성기 민감한 北, 준전시상태 해제시점 연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대북확성기 민감한 北, 준전시상태 해제시점 연계 김관진 국가안보실장(오른쪽)과 북측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이 25일 오전 판문점에서 무박4일 마라톤 협상을 마치고 악수하고 있다. <사진제공=통일부>
AD


[아시아경제 김동선 기자]25일 새벽 남과 북이 비슷한 시각에 발표한 남북 공동합의문에서 유일하게 다른 부분은 북한의 준전시상태 해제시점이다.

이날 극적 합의를 마치고 판문점에서 돌아온 김관진 국가안보실장이 청와대에서 발표한 우리측 공동보도문 4항에는 '북측은 준전시상태를 해제하기로 하였다'고 구체적인 시점이 명기되지 않았다.


반면 조선중앙TV와 조선중앙통신 등 매체를 통해 발표된 북측의 공동보도문에는 우리측이 대북확성기 방송을 25일 정오를 기점으로 중단하기로 한다는 3항과 바로 연결된 4항에 '동시에'라는 표현이 들어갔다. 대북심리전 방송 중단과 준전시상태 해제를 연계시킨 것이다.

그간 북한은 대북심리전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확성기 방송 중단을 줄기차게 요구해왔던 점을 감안하면 확성기 방송 중단에 대한 북측의 요구가 얼마나 큰지 이번 합의문을 통해서도 드러난 셈이다.


합의문 3항 대북확성기 중단과 관련해 '남측은 비정상적인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 한'이라고 못박은 점도 주목된다. 북측은 여기서 '발생'이라는 단어를 같은 뜻의 '산생'이라는 다른 표현을 썼다.


김 실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끊임 없이 북한에 대해 '재발방지' 약속을 요구했다"며 "이 과정에서 북측이 원하는 확성기 방송 중단에 대해 '비정상적인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 한'이라는 조건을 붙임으로써 여러 가지로 함축성이 있는 목표 달성이 가능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남북이 공동으로 발표한 보도문은 남과 북, 서울과 평양 등의 단어 배열 순서를 제외하고는 일치했다.


한편, 이날 합의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북한의 도발에 대한 사실상의 사과를 담은 2항은 '북측은 최근 군사분계선 비무장지대 남측지역에서 발생한 지뢰폭발로 남측 군인들이 부상을 당한데 대하여 유감을 표명하였다'고 함으로써 사과의 주체를 명기했으나 지뢰 매설의 주체는 명확하지 않아 아쉬움이 남는다.




김동선 기자 matthe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