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일촉즉발 南北…대화로 대결국면 해소할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2초

[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 남북이 고위급접촉에 합의하고 대화에 나서기로 하면서 지뢰도발 이후 형성된 군사 대결국면이 해소될 수 있을지 기대감을 모으고 있다.


김규현 청와대 국가안보실 제1차장은 22일 브리핑을 통해 21일 오후부터 이루어진 양측 간 통지문 소통을 통해 22일 오후 6시 판문점에서 고위급접촉을 갖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이번 만남에 우리쪽에서는 김관진 국가안보실장과 홍용표 통일부 장관이 나가기로 했으며 북쪽에서는 황병서 총정치국장과 김양건 노동당비서관이 나와 2+2 고위급접촉이 열리게 됐다.


접촉이 열리는 오후 6시는 북한이 20일 서부전선에 포격을 가한 뒤 "대북 심리전을 중단하지 않으면 군사적 행동을 개시하겠다"며 설정한 22일 오후 5시를 넘긴 시간이라, 일단 북한이 군사행동에 나서기보다 대화로 풀자는 뜻을 내비친 것이다.

자칫 무력충돌로 이어질 경우 양쪽 모두 득보다는 실이 클 것이라는 점을 감안한 조치로 풀이된다. 북한은 21일 오후 4시 우리쪽에 '김관진+김양건' 형태의 접촉을 제안해왔고, 이에 우리 쪽이 회담 참가자 변경을 역제안 하는 등 수차례 통지문이 오간 끝에 '급(級)'이 격상된 2+2 고위급접촉이 성사됐다.


일단 대화의 물꼬가 트이면서 최악의 상황은 피할 수 있는 기회를 양쪽은 마련했다. 북측이 어떤 추가 제안을 해올지 그리고 우리 쪽이 수용할 수 있는 제안인지 등 내용에 따라 이번 고위급접촉의 성과가 결판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대북 심리전 중단'과 '을지프리덤가이언 훈련 중단'을 제안할 것으로 관측되며, 우리 쪽은 지뢰·포격 도발에 대한 사과와 책임자 처벌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양쪽 모두 무력충돌만은 피해야 한다는 입장은 같다는 점에서 합의점을 찾을 가능성이 높아보이지만 만에 하나라도 입장차만 확인하고 끝난다면 남북 간 전례 없는 군사적 긴장감이 한층 고조될 위험이 높은 상황이다.




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