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도덕경의 즐거움]도가도(道可道), 제1장의 충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도덕경의 즐거움]도가도(道可道), 제1장의 충격  
AD

도가도(道可道)가 대체 무슨 뜻인가. 앞의 도는 수행이나 진리나 방법(way)으로 해석하고, 뒤의 도는 '말하다'라는 뜻으로 푸는 이가 있다. 도(道)가 말하다는 뜻으로 쓰인 용례를 들어보이며 설득력을 높이려 한다. 노자가 자신이 해야할 첫말을 하면서 도(道)라는 한 글자를 이렇게 다른 의미로 쓸 만큼 말솜씨를 부리려고 했을까. 도덕경은 시에 가깝기에 일상으로 쓰는 말들 중에서 생략해도 알 수 있는 것은 줄여서 간명하게 표현했다고 나는 생각한다. 도가도는 도이가왈도(道以可曰道) 정도의 문장으로, '도는 도일 수(도로 불릴 수) 있다'라는 의미로 충분하다. 이 문장의 핵심은 앞의 도와 뒤의 도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노자는 왜 이 말부터 했을까.


도(道)라는 말은, 노자시대에도 그랬고 지금도 그렇지만, 길이라는 구체적인 대상을 가리키는 말이면서 그 길을 은유로 표현한 무엇을 동시에 가리키는 말이다. 구체적인 대상으로 생각해보는 게 쉬울지 모른다. "길은 길일 수 있다" 즉 하나의 길은 본질적인 의미에서 길일 수도 있지만 아닐 수도 있다는 얘기다. 이 말을 더 분명히 하면 '도불가도(道不可道)이다. 길이 길이 아닐 수도 있다는 얘기다.  노자의 첫마디는 '도는 도일 수 있다'이지만, 뒤집으면 '도가 도 아닐 수 있다'는 비평적 발언이다. 세상에 도라는 말이 흔하지만 그 말들이 진짜 도를 품고 있는 게 아닐 수 있다는 얘기다. 도라는 이름을 쓴다고 도가 되는 건 아니란 얘기다. 왜냐하면 도는 말로 규정되고 고정될 수 없기 때문이다. 길을 묻는 사람에게 노자는 말한다. "지금껏 많은 사람들에게서 도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셨죠? 그 사람들이 그걸 도라고 말한다고 진짜 도는 아닙니다. 내가 말하는 것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내가 도라고 표현한다고 그게 늘 도인 것은 아닙니다. 말과 도가 언제나 일치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 말이 내겐 무한한 감동이었다. 관성적 생각을 깨고 개념의 너울들을 헤치고 들어가 그 속에 본질로 존재하는 무엇을 들여다보게 해준 명언이었기 때문이다. 네가 도라고 생각했던 그것부터 의심하라. 그건 도일수도 있지만 아닐 수도 있다. 왜냐하면 도라고 불려진 그것과 도의 진면목이 항상 일치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이야기를 하는 것은 당시의 사상가들을 비판하기 위해서만은 아니었다. 오히려 그것보다는 도의 근원성을 강조하기 위한 전략적 언급에 가까울 것이다. 도는 인간은 지각과 지식과 지혜가 깨달았다고 믿는 그까보다 훨씬 더 본질적인 것이며 더 가까운 것이다. 노자는 이 말을 하고 싶었을지도 모른다. '도가도'는 나의 지식과 나의 언어와 나의 인식을 뒤흔들면서, 본질에 대한 깊은 갈증을 이끌어냈다. 이른바 '도덕경적인 목마름'이다.




빈섬 이상국(편집부장ㆍ시인) isomi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