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故 이맹희 빈소 마지막 날, 끊이지 않는 발길(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6초

영결식 20일 오전 8시 CJ인재원서 진행…유족의 뜻에 따라 비공개, 장지는 가족 사유지 '연하산'

이부진·이서현 자매, 빈소 다시 찾아…부친 사이 갈등 후대에 사라지나
이명박 전 대통령부터 배우 장동건까지…"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故 이맹희 빈소 마지막 날, 끊이지 않는 발길(종합)
AD

[아시아경제 이광호 기자, 최서연 기자]고(故) 이맹희 CJ그룹 명예회장의 빈소가 마련된 서울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병원 장례식장(1호실)에는 19일에도 각계 인사들의 조문이 이어졌다.

이날 이명박 전 대통령을 비롯해 정관계, 재계, 연예계 인사들이 장례식장을 찾았다.


특히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장녀인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과 차녀인 이서현 제일모직 사장이 다시 빈소를 찾아, 부친들 사이에서 생긴 갈등이 후대에 이르러 사라지는 것은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이부진, 이서현 사장이 연속해 (이 명예회장) 큰아버지의 빈소를 찾는 등 앞서 이재용 부회장과 홍라희 관장까지 조문을 왔다는 것은 그동안 삼성, CJ간 앙금이 서서히 해소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고 조심스럽게 예견했다.


삼성 사장단의 조문도 계속됐다. 이수빈 삼성생명 회장, 윤용암 삼성증권 사장, 안민수 삼성화재 사장, 임대기 제일기획 사장, 원기찬 삼성카드 사장 등 삼성 사장단이 빈소를 찾아 조문했다.


이어 최창원 SK케미칼 부회장, 정도원 삼표 회장, 박정원 두산 회장, 이희상 동아원 회장, 담철곤 오리온 회장, 이화경 오리온 부회장, 이석채 전 KT 회장, 허명수 GS건설 부회장, 정교선 현대백화점 부회장, 황창규 KT 회장, 박건배 전 해태그룹 회장, 이명우 동원산업 대표, 지창훈 대한한공 사장, 추성엽 팬오션 사장 등이 애도의 뜻을 전했다.


故 이맹희 빈소 마지막 날, 끊이지 않는 발길(종합)

정계 인사들도 조문 행렬에 동참했다.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부겸 전 의원, 정문헌 새누리당 의원, 강금실 전 법무장관, 이상득 전 의원, 박진 전 의원, 정병국 새누리당 의원,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김학용 새누리당 의원, 권오을 새누리당 인재영입위원장, 정대철 전 민주당 상임고문, 남경필 경기도지사 등도 빈소를 찾았다.


최 부총리는 "고인의 명복을 빌었고 우리 경제발전을 위해 많이 헌신해온 분이기 때문에 유지를 잘 이어받아서 CJ그룹이 경제발전에 많이 기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무성 대표도 조문을 끝낸 뒤 "집안끼리 잘 아는 사이고 제 큰형이 (이 명예회장)장례식 때 추도사를 읽는다"며 "(유족들과)좋은 얘기 많이 나눴다"고 답했다.


금융계에서도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 김한조 외환은행장, 조용병 신한은행장, 김현근 농협하나로유통 대표, 진헌진 전 흥국생명 대표 등이 빈소를 찾아 애도했다.


연예계에서도 고인의 명복을 빌었다. 박찬욱 감독을 비롯해 배우 정혜선, 장동건, 고소영, 설경구, 정석원, 독고영재, 신성일, 정우성, 가수 로이킴, 정준영, 백지영, 박진영, 비, 음악평론가 임진모, 설도윤 설앤컴퍼니 대표 등이 빈소를 찾았다. 싸이도 이틀째 조문했다.


현재 장례식장은 이 명예회장의 차남 이재환 재산커뮤니케이션즈 대표, 장녀 이미경 부회장과 장손 이선호씨 등이 지키고 있다.


구속집행정지 상태로 서울대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 장남 이재현 CJ그룹 회장은 감염 우려가 심각해 아직 빈소를 찾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명예회장의 부인인 손복남 고문도 건강문제로 입원중이어서 빈소 방문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故 이맹희 빈소 마지막 날, 끊이지 않는 발길(종합)

이 명예회장의 발인은 20일 오전 7시, 영결식은 오전 8시 서울 중구 필동 CJ인재원에서 거행된다.


영결식 및 장지 안치 등의 과정은 유족들의 뜻에 따라 비공개로 진행될 예정이다.


영결식은 김동건 아나운서의 사회로 진행되며, 추도사는 김창성 전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이, 조사는 이채욱 CJ그룹 대표이사(장례위원장)가 맡는다. 식순은 개식사, 묵념, 추모영상, 추도사, 조사, 헌화, 폐식사로 열린다.


이 명예회장의 장지는 경기도 여주에 있는 가족 사유지인 연하산이다. 연하산은 골프장 헤슬리나인브릿지를 통해 갈 수 있어 일반인의 출입이 통제된다.


한편 지난 14일 중국 베이징에서 지병인 암으로 작고한 이 명예회장은 삼성가 장남으로서 고 이병철 회장의 뒤를 이어 삼성그룹을 이끌어 갈 인물로 꼽혔지만,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고 이병철 회장과 갈등을 빚으면서 3남 이건희 회장에게 밀려났다.


장남이면서도 부친 고 이병철 창업주에 의해 무능하다는 이유로 경영에서 배제돼 동생인 이건희 회장에게 그룹 경영권을 넘긴 비운의 주인공이다.


이와 관련, 이 명예회장은 1993년 경영권 승계 과정에 관한 회상록 '묻어둔 이야기'를 출간하기도 했다.


이 명예회장은 2012년 이건희 회장을 상대로 유산분할 청구소송을 내면서 세간의 주목을 다시 받았으나 1∼2심에서 패한 뒤 상고를 포기했다.


이 명예회장은 이건희 회장에게 삼성생명 주식 425만9000여주, 삼성전자 주식 33만7000여주, 이익 배당금 513억원 등 총 9400억원 규모의 재산을 인도하라고 청구했지만 모두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광호 기자 kwang@asiae.co.kr
최서연 기자 christine8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