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美 기업들, 중국발 충격 본격화…실적 하방 압력 거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강달러에 울고 중국 수요 둔화에 쓰러져

[아시아경제 조목인 기자]중국발 수요둔화가 미국 기업들의 발목을 잡기 시작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과 유럽의 경제침체가 해결되고 난 자리를 중국 위기가 대신하고 있다면서 달러 강세로 울상인 미국 기업들의 실적 하방 압력이 더 커질 것이라고 신문은 예상했다.


스탠더드앤푸어스(S&P)500 지수에 포함된 기업들의 2분기 순익은 전년 동기 대비 1.2%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는 지난 2012년 이후 3년여만에 최저치다. 특히 2분기 매출은 3.5% 줄었다. 6년만에 기업들의 매출이 가장 크게 줄어든 것이다.

극도의 부진을 겪은 에너지 산업을 제외한 기업들의 2분기 순익은 8.7% 증가하면서 선방했다. 하지만 이들의 매출 증가율은 1.5%로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기업들의 이익이 매출 증가보다는 비용 축소, 자사주매입 등 허리띠 졸라매기에 따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WSJ는 전반적으로 미국 대기업들이 중국발 경기둔화로부터 직접적인 충격을 받지는 않고 있지만 산업별로 내용을 들여다보면 상황이 좋지 않다고 전했다.


대형 엔진 생산업체 커민스는 2분기 중국 굴착기 수요가 34% 급락했으며 향후 나아질 조짐도 보이지 않고 있다고 최근 밝혔다. 주니퍼 네트웍스는 2분기 아시아 태평양 지역 매출이 전분기 대비 3% 줄었는데 중국을 제외하면 11% 늘었다고 밝혔다. 듀폰은 중국 지역 매출 증가 전망치를 종전 5% 이상에서 2~3% 사이로 낮춰 잡았다. 제너럴모터스(GM)는 올해 자동차 판매 가격이 5~6% 정도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종전 전망치(3%)보다 더 부진할 것이란 예상이다.


중국 경기동향 보고서인 중국 베이지북을 발간을 담당하는 차니 리서치의 크레이그 차니 대표는 "핵심은 중국의 변화를 단기적 관점이 아닌 장기적으로 바라보는 것"이라면서 "중국은 현재 과거 수출 중심 경제에서 벗어나 서비스·소매 등을 성장의 엔진이 되도록 경제 체제를 전환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목인 기자 cmi072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