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선거구 공방…與 "잘못된 딜" 野 "협상 자세 아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선거구 공방…與 "잘못된 딜" 野 "협상 자세 아냐"
AD

[아시아경제 홍유라 기자] 선거구 획정 시한 및 제도를 놓고 여야 간 공방이 뜨겁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소속 박민식 새누리당 의원과 김태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13일 'CBS 박재홍 뉴스쇼'와 인터뷰에서 양당의 이견을 전했다. 양측은 선거구 획정 10월13일 기한 준수엔 공감대를 표하면서도 오픈프라이머리와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동시 논의 하는 것엔 상당한 견해차를 내비쳤다.


이날 인터뷰에서 박 의원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된 선거구 획정 관련 여야 합의에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선거구획정위는 당초 이날까지 여야 간 합의를 도출할 것을 요구했다. 다만 박 의원은 "조만간 아마 저는 매듭이 풀리리라고 기대한다"면서 "(협정시한인) 10월3일까지 충분히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내년 총선이 4월이지 않습니까? 아마 그러면 그 전에 선거구 획정이 되어야 사람이 내가 서울에서 선거운동을 할 건지, 부산에서 선거운동을 할 건지 그 후보자가 결정을 할 수 있지 않습니까? 그래서 당연히 될 수밖에 없다"라며 "10월13일까지는 그렇게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박 의원은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오픈프라이머리 빅딜 문제로 여야가 갈등을 빚는 것에 대해선 부정적 입장을 전했다. 그는 "저는 한마디로 오픈프라이머리와 권역별 비례대표의 그런 흥정은 큰 빅딜이 아니라 롱(wrong)딜이다"라며 "잘못된 거래다, 잘못된 만남이다 이렇게 규정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선거제도인 반면 오픈프라이머리는 공천제도이니 서로 판이하게 다른 논의라는 취지에서다.


하지만 정개특위 야당 간사인 김 의원은 이러한 박 의원의 주장에 대해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않았다. 박 의원은 "하나는 공천제도고 또 하나는 선거제도고 그건 맞지만 협상이라고 하는 것이 양당이 관심을 갖고 있는 것에 대하여 한 테이블에 올려놓고 함께 협의를 해야 풀리는 것"이라며 "본인들이 주장하는 것만 취하고 상대 당에서 주장하는 것은 논의하지 않겠다는 건 협상의 자세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 역시 10월13일 이라는 선거구 획정 기한에 대해선 긍정적인 자세를 보였다. 김 의원은 "10월13일이 이제 선거구획정위원회에서 획정 결과를 국회로 보내는 날이다"라며 "이 10월13일까지 (선거구를)획정할 수 있도록, 지장이 없도록 획정 기준을 정해서 보내도록 할 생각이다"라고 말했다.




홍유라 기자 vand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