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성장사다리펀드 1.6조원 추가 조성…증액투자 펀드 신설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아시아경제 김혜원 기자] 정부가 성장사다리펀드 출범 3년차에 6000억원을 추가 출자해 총 1조6000억원의 펀드를 조성한다.


금융위원회는 12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은행권청년창업재단 D.Camp에서 간담회를 열고 성장사다리펀드 2차년도 사업성과 및 3차년도 출자 사업 계획을 밝혔다.

성장사다리펀드는 유망한 벤처·중소기업이나 성장 자금이 필요한 중견기업을 발굴·지원하기 위해 만든 펀드로, 사업 2차년도까지 총 1조2000억원을 출자해 4조4000억원의 하위펀드를 조성했다. 당초 목표(연간 2조원)를 초과 달성했다. 기업 성장단계별로 총 48개 펀드를 결성해 은행 및 연기금·공제회 중심의 민간 자금 3조2000억원을 매칭했다.


7월 말 현재 총 262개 기업에 1조157억원의 투자를 집행해 실질적인 자금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투자 기업의 92%는 중소기업이며, 설립 7년 이하 초기 기업은 60.7%로 주로 초기 중소기업 위주로 투자를 집행 중이다.

투자 집행률은 36.4%로 결성 시기와 투자 기간 경과율(27.1%)을 감안할 때 순조로운 편이라고 금융위는 설명했다. 올 연말 누적 투자액은 당초 예상치(8841억원)를 웃도는 1조3000억원 수준으로 전망했다.


금융위는 성장사다리펀드 사업 3차년도에 6000억원을 출자해 총 1조6000억원 펀드를 조성하고 당초 계획했던 3년 동안 6조원 규모의 펀드 조성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3차년도 출자 분야는 기존의 펀드에 대한 시장의 평가와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시장 수요와 정책 목표를 감안해 수립했다. 초기 기업 Follow-on 투자 펀드(증액 투자 전문 펀드)와 LP 지분 유동화 세컨더리 펀드 등을 신설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금융위는 초기 투자를 받은 기업 중 추가 투자가 필요한 기업에 대한 후속 투자를 목적으로 1000억원을 신규 출자하고 민간 출자자 지분에 대한 거래시장 조성 목적의 펀드에도 700억원을 출자하기로 했다.


스타트업, 인수합병(M&A), 해외 진출 지원 등 시장의 평가가 좋고 지속적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영역에 대해서는 운용사 선정 방식 등을 일부 개선해 추진할 방침이다. 운용사 선정 시 운용 전문성과 출자자 사전 협의가 필요한 분야에는 일괄 공모 방식이 아닌 시장 제안 방식을 도입해 시장의 아이디어를 적극 반영하도록 개선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민간 자금의 출자자(LP) 참여 유도를 위해 기존의 중·후순위 방식 이외 다양한 인센티브 부여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성장사다리펀드의 초과 수익을 민간 출자자에게 이전하는 방식 또는 민간 출자자의 출자 스케줄을 조정해 민간의 수익률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 등을 적극적으로 반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혜원 기자 kimhy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