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실감현장]'비상식적' 지역별 안전지수 발표의 내막

시계아이콘00분 54초 소요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1년에 화재사고 몇번 있을까 말까 한 곳이 안전 등급 꼴찌라니요…."


최근 국민안전처의 지자체별 화재ㆍ교통 안전 등급에서 화재분야 최하위인 5등급을 받은 전남 완도군 관계자의 하소연이다. 그동안 섬 지역이라 화재 걱정 안하고 살아왔는데 느닷없이 '전국에서 가장 안전하지 못한 지역'으로 지정돼 황당하다는 것이다.

소방통계를 확인해보니 완도군은 인근 지역에 비해 화재가 적은 지역이다. 최근 5년간 화재신고는 매년 평균 약 50여건 발생, 매년 평균 1.2명이 사망하고 1.8명이 상해를 입었다. 인구가 더 많은 인근 해남군(2등급)이 2013년 한해동안 116건의 화재가 발생, 3명이 부상당한 것과 비교해 봐도 그렇다.


완도군의 사례를 계기로 이번 등급 발표 결과를 자세히 살펴보니, 전남 등 농어촌 지역들은 상대적으로 점수가 낮고 도시 지역은 높은 것이 눈에 띈다. 상식적으로 건물ㆍ공장ㆍ차ㆍ도로가 많은 도시 지역이 한적한 농어촌 지역보다 화재ㆍ교통 분야에서 더 안전하다는 것은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도대체 어떻게 된 것일까? 알고 보니 안전처의 산출식에 비밀이 숨겨져 있었다. 안전처는 2013년 화재ㆍ교통사고 통계에서 1만명당 사망자수를 기준으로 각 지표를 더하고 빼서 안전 등급을 산출했다.


문제는 산출식의 구조다. 농어촌 지역이 불리하게 할 수밖에 없다. 화재 분야의 경우 산림 면적이 넓으면 감점을 받는다. 반면 시가지 등 도시화 지역 면적 크기, 의료기관의 병상수, 지자체의 재정자립도 등 도시 지역이 유리한 점은 가점 요인이다. 교통사고 분야도 농어촌 지역의 특성상 감점요인(노인ㆍ외국인 귀화자 등 재난 약자수)이 많고 가점 요인(의료기관 병상수ㆍ구조구급대원수ㆍ인구밀도)은 적다.


지역별 안전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한다는 취지는 좋지만 실제 현실을 정확히 객관적으로 반영되도록 기준이나 지수를 설계해야 한다. 낮은 등급 지역들은 벌써부터 '낙인 효과'를 우려하고 있다. 현실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지수'는 발표 안하느니만 못하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