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지난해 산사태 피해, 최근 10년 중 ‘최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8초

2014년 피해면적 70㏊·797억여원 복구비 투입, 지난 10년간 연평균의 1/10 수준…산림청, 집중호우 등 계절적 특성에 따른 피해 예방·대응활동으로 가시적 성과

[아시아경제 정일웅 기자] 산림청이 여름철 태풍과 집중호우에 따른 자연재해를 최소화 하는데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다.


산림청은 28일 대전정부청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최근 10년간의 여름철 산사태 발생현황 및 대책마련 등의 방안을 내놨다.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선 산사태로 발생한 70㏊의 피해면적을 복구하는 데 142억 27억여원이 쓰였다.


이는 최근 10년간의 평균 피해면적 439㏊에 연평균 복구비용 797억 71억여원으로 집계된 것을 감안할 때 면적으로는 84%, 비용 면에서는 약 82%가량 낮은 수치다.

연도별 산사태 발생현황에선 ▲2006년 1597㏊·2751억여원 ▲2011년 824㏊·1476억여원 ▲2012년 491㏊·972억여원 ▲2005년 469㏊·873억여원 ▲2013년 312㏊·544억여원 등으로 피해규모가 컸다.


산림청은 산사태 피해의 주된 원인을 계절적 특성상 나타나는 태풍과 집중호우로 판단, 이에 따른 상황단계별 대처를 실시해 재해 피해규모를 줄여가고 있다.


특히 올 5월15일~10월15일을 ‘여름철 자연재난대책기간’으로 정하고 산사태를 예방·대응하는 활동에 역량을 집중한다.


엘니뇨가 발달하면서 이 기간 2~3개의 강력한 태풍이 발생,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는 기상청 예보에 따른 조치다. 엘니뇨는 이상기온으로 인해 해수온도가 평년보다 0.4℃ 올라간 상태로 6개월 이상 지속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에 따라 산림청은 산사태 대책기간 이전에 산림분야 ‘국가 안전 대진단’을 실시, 산사태 취약지역과 산림휴양시설 등 산사태 발생 위험요인을 사전에 정비하는 등의 안전조치를 취했다.


또 인명·재산피해가 우려되는 산사태 취약지역에 비상대피체계를 구축하고 산사태 발생을 가정한 위기대응 모의훈련(5·6월 각 1회)을 실시함으로써 비상연락체계 현행화 및 실무매뉴얼 정비 등으로 부족한 점들을 보완했다.


이밖에 산림청은 산림청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산사태예방지원본부를 설치·운영하면서 기상상황에 따라 단계별(주의·경계·심각)로 24시간 비상근무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이규태 산림보호국장은 “산사태는 태풍이 몰고 온 비구름이 집중호우로 이어지면서 발생하기 쉽다”며 “갑자기 많은 비가 일시에 쏟아질 때는 생활권 주변에서 산사태 위험징후를 살피고 토사유출 등이 우려되는 곳이 있다면 가까운 산림부서로 신고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산림청은 체계적인 예방·대응을 통해 산사태 재해로부터 국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데 앞으로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산사태는 산지를 구성하는 토양과 암반의 상태, 토양의 깊이, 산지의 경사도 등이 취약해진 상태에서 집중호우와 지진 등의 환경요인이 겹칠 때 발생하기 쉽다.


또 산사태는 ▲산지 경사면에서 갑자기 많은 양의 물이 솟아 오른다 ▲산허리의 일부가 금가거나 내려앉는다 ▲바람이 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나무가 흔들리거나 넘어지는 등으로 징후를 보인다.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