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시, 세운상가·창동·가리봉·용산 도시재생 국비 지원 요청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아시아경제 박철응 기자]서울시가 세운상가, 창동·상계, 가리봉, 용산 등 4곳의 도시재생 사업에 대한 국비 지원을 신청했다. 받아들여지면 각 지역별로 최대 250억원의 자금 지원이 가능해 사업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15일 서울시와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시는 국토부의 올해 도시재생 사업 공모에 이같이 응모했으며 이르면 이달 말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국토부는 도시경제기반형과 근린재생형 두 유형으로 최대 35곳을 선정할 계획인데 공공청사 이전부지, 철도시설, 폐항만 등의 정비개발 등을 통한 경제거점 조성 목적의 도시경제기반형에는 250억원 이내에서 지원한다. 서울시는 2019년까지 이전할 예정인 창동차량기지 부지를 개발하는 ‘창동·상계 신경제 중심지’ 조성 사업을 도시경제기반형으로 신청했다.


서울시는 이 곳에 산업·업무·상업·전시장 용도의 글로벌비즈니스존과 창업지원센터, 공연문화복합시설, 숙박·관광시설 등을 조성해 8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수도권 동북부 경제중심지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근린재생형으로 신청한 다른 3곳이 선정되면 각각 60억~100억원의 예산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구도심이나 중심시가지, 노후불량 주거지역 재생을 위해 불량주택 개량, 상가건물 리모델링 등 자금 지원은 물론 용적률, 건폐율, 주차장 설치 기준 등 규제 완화도 가능하다.


서울시가 이 유형으로 신청한 세운상가 재생 사업은 우선 1단계로 종로구 초록띠공원부터 중구 대림상가를 잇는 420m 길이의 노후 상가 지역을 도심 산업축으로 탈바꿈시킨다는 게 목표다. 단절된 보행데크를 연결하고 노후 구간을 보수해 보행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골자다. 이렇게 확보된 공간을 시민과 관광객이 모이는 문화예술공간으로 활용한다는 것이다.


가리봉동 일대는 2003년 균형발전촉진지구(뉴타운)로 지정됐으나 주민 갈등과 부동산 경기 악화 등으로 10여년간 정체된 곳이다. 서울시는 주민 의견에 따라 지구 지정을 해제하고 시설 현대화 및 '차이나타운'으로 특성화, 디지털단지의 배후 거점 등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용산 도시재생은 광복 후 북에서 남으로 내려온 이들이 모여 이룬 ‘해방촌’ 지역(용산2가동)이 대상이다. 노후한 주택을 개선하고 산업과 역사문화 등 지역적 특성에 맞는 맞춤형 재생을 추진하고 있다.


관건은 중앙 부처 간 원활한 예산 협의다. 지난 3월 국토부는 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도시재생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6월에 대상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으나 기획재정부와 예산 지원에 대한 이견으로 지연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중장기적인 도시재생 예산 지원 규모에 대해 이견이 있어 협의를 계속 진행하고 있으며 협의 결과에 따라 전체적인 지원 규모 등에 변화가 생길 수도 있다”며 “이르면 이번 달 내에 결론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박철응 기자 her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