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이승철 전경련 상근부회장은 29일 "세대간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으면 청년들에게 '한강의 기적'이 아닌 '한강의 위기'를 넘겨주게 될 것"이라며 '세대간 사회적 책임(ISR)'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부회장은 이날 출입기자들과 오찬간담회를 갖고 "계층갈등과 이념갈등은 당사자가 동등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갈등이 바로 표출되는 반면 부모가 자녀세대보다 사회적 영향력이 우월한 세대갈등은 갈등이 바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부모세대가 솔선수범해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처럼 세대간 사회적 책임(ISR)은 현 세대가 다음 세대에게 지속적 성장을 통한 안정된 미래를 물려주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경제적, 사회적 책무를 의미한다.
이 부회장은 그 책무 중 첫 번째로 임금피크제 도입을 통해 자녀세대와 일자리를 나눠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년연장에도 불구하고, 임금피크제 도입률은 9.4%에 불과한 실정"이라며 "임금피크제 도입시 향후 5년간 31만여 개의 청년일자리 창출이 가능해 자녀세대의 일자리 가뭄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고용노동부 조사 결과, 민간 사업장 중 9.4%만 임금피크제를 도입했으며, 미도입 사업장 중 도입 계획이 없는 사업장이 72.2%에 달한다. 또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55세부터 매년 10%씩 임금 낮추는 임금피크제 시행시 31만3000개의 청년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
이 부회장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가 더 이상 늘어나지 않도록 '국가채무상한제'를 실시하자고도 제안했다. 그는 "국가채무의 적정 수준에 대한 정답은 없다"며 "자녀 세대가 부담할 빚이 지금보다 늘어나지 않도록 국가채무 한도 설정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또한 이 부회장은 연금문제와 관련해서는 '세대별 독립채산제'를 제안했다. 이 부회장은 "어렵더라도 노후문제는 스스로 해결하려는 자세를 보여주자"며 "앞으로 받을 연금도 미래세대에 넘기지 말고, 자기 세대가 납부한 만큼만 받아가는 세대별 자기 책임제로 하면 어떨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베이비붐 세대는 '우리 때는 좋았는데, 자식들이 살아갈 대한민국은 어떨지 정말 걱정된다'는 얘기를 많이 한다"며 "국제시장 세대가 물려준 '한강의 기적'까지는 아니더라도 자녀세대에게 '한강의 위기'를 물려주지는 말자"고 덧붙였다.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