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버스 파업 초읽기…"勞·使·市 합동 서민 지갑 털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8초

24일 오후 최종 협상 결렬시 25일 새벽부터 버스 7400여대 멈춰...대중교통 대란 예상...버스기사 인건비 10년간 165% 인상 불구 7.29% 올려달라 요구...요금 인상 직후 파업 가시화돼 '짜고치나' 의혹도

버스 파업 초읽기…"勞·使·市 합동 서민 지갑 털기?" 버스파업. 아시아경제DB. 사진은 기사와 관련이 없음. 채널A 화면 캡쳐.
AD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서울 시내버스 운전기사들이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25일 파업을 예고했다. 24일 오후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열리는 조정회의에서 중재가 실패하면 '서민의 발'이 묶이게 된다.

24일 시에 따르면 서울버스노조는 23일 조합원 대상으로 투표를 실시해 25일 오전 4시 첫차부터 파업에 들어가기로 결정했다. 조합원 1만6505명 중 1만5370명이 참여해 90.57%가 파업에 동의했다. 노조는 임금 7.29%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사용자인 서울버스운송사업조합은 임금 동결을 주장하고 있어 협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노사는 24일 오후 서울지노위가 내놓는 조정안을 놓고 서울시의 중재 하에 최종 협상을 벌일 예정이다. 오늘 늦게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협상이 결렬될 경우 파업은 현실화된다. 이렇게 되면 서울 노선버스 7485대가 전부 멈추게 돼 시민들의 큰 불편이 예상된다. 2013년 기준 서울 시내버스 하루 이용객은 약 450만명에 달한다. 전체 대중교통 이용객 중 약 27%가 시내버스를 이용하고 있는 셈이다. 만약 시내버스가 파업에 들어갈 경우 지하철ㆍ택시 등 다른 대중교통수단들까지 연쇄 파급효과가 발생, 서울 시내는 '대중교통 지옥'이 될 우려가 높은 상황이다.


시는 노사간 원만한 협상을 이끌어 내기 위해 노력하는 한편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해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임금인상 가이드라인이 있긴 하지만 아직 최종 확정된 것도 아니고 노동위의 중재안 수준을 확인한 다음에 조정ㆍ결재 과정을 밟아야 한다"며 "파업에 들어가더라도 시민들의 대중교통이용에 대한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비상 대책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이들이 그동안의 높은 임금인상에도 불구하고 '시민의 발'을 볼모로 집단이기주의적 행태를 보이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2004년 준공영제 시행 이후 10년간 약 165%나 인상됐다는 점에서다. 서울 버스 업체 운수종사자의 연봉은 2003년 평균 2687만2000원에서 지난해 4424만5000원으로 수직 상승했다.


게다가 복지 수준도 타 시ㆍ도 보다도 훨씬 좋은 편이어서 임직원ㆍ노조 간부 등이 취업을 미끼로 한 사기 및 뇌물사건이 종종 일어날 정도다. 중동호흡기증후군(MERSㆍ메르스)사태까지 겹쳐 서민들의 살림살이가 팍팍해진 가운데 이번에 7.29%나 임금인상을 요구한 것은 과도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특히 파업 시점을 두고도 뒷말이 나오고 있다. 지난 18일 시는 안전ㆍ서비스 향상 등을 이유로 오는 27일부터 버스 요금을 대폭 인상(150~450원)하기로 확정했다. 이런 상황에서 노조가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파업에 들어가겠다고 한 것은 결국 시민의 호주머니를 털어 운전기사 주머니를 채워주는 결과라고 소비자단체는 지적했다.


김연숙 한국소비생활연구원 부원장은 "버스요금 인상 때는 임금 인상 얘기는 한 번도 나온 적이 없다. 이렇게 나라가 안팎으로 어려운 때에 요금 인상을 하자는 것에 반대했지만 결국 다수결로 통과되고 말았었다"며 "이런 시기에 서민에게 부담을 준 요금 인상을 하자 마자 노조가 기다렸다는 듯이 파업을 통해 과도한 임금인상 요구를 한 것은 정말 부적절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 소비자단체 관계자도 "서을 버스노조가 임금 인상을 요구하면 사업자 측이 이를 빌미로 요금을 올려달라고 하고 시는 못 이기는 척 이를 수용해온 게 그동안의 관례였다"며 "이번에도 똑 같은 판이 벌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