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메르스 사태]방역 최전선 공무원들이 지쳐간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42초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글자크기

확산세 지속에 관리대상자 급증...공무원들 피로도 높아져..."한계치 넘어설까 두렵다"

[메르스 사태]방역 최전선 공무원들이 지쳐간다 어린이집 방역
AD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서울시 공무원 A씨는 최근 중동호흡기증후군(MERSㆍ메르스) 자택격리자 1대1 전담관리 업무를 맡았다가 곤혹스런 입장에 처했다. 자택격리자에게 지급되는 지원 물품을 집 앞 현관에 놔두고 온 게 발단이 됐다. 자택격리자는 "거지 취급하는거냐, 기분 나쁘다"며 이곳 저곳에 민원을 제기했던 것이다. 민원을 제기하면 공무원으로서는 난감할 수밖에 없다.

메르스 확산 추세가 지속되면서 1대1 전담관리 담당자나 각 지자체의 보건소ㆍ대책본부 근무자 등 방역업무 수행 공무원들의 피로도가 높아지고 있다. 격리자에 대한 물품 전달을 두고도 민원이 제기되고 있다. A씨는 모든 업무를 중단한 채 자택격리자에게 가서 한참을 싹싹 빌어야 했다. 그는 "한 명의 격리자만 관리하고 물품 전달하는게 아니어서 집집마다 찾아다니면서 충분하게 시간을 갖고 소통하기는 쉽지 않다"면서 "더구나 마스크 한 장 쓰고 격리자에게 대면해서 물품을 전달해야 하는 입장도 생각해주면 좋겠다"고 하소연했다.


특히 동원 인력ㆍ자원은 한정돼 있는 상황에서 자택격리대상자가 크게 늘어난 데다 이들 중 일부가 마음대로 외출을 하며 밀착마크를 해야 하는 공무원들의 속이 타들어가고 있다. 더 늘어날 경우 감당하기 어려운 지경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감도 나온다.

보건당국에 따르면 16 오전 메르스 감염자와 직ㆍ간접적으로 접촉해 감염이 의심되는 자가격리자는 총 5586명에 달한다. 하루 전보다 370명 증가했다. 신규 격리자는 13일 1385명, 14일 1015명, 15일 1009명으로 3일 연속 1000명을 넘어서고 있다. 특히 서울을 벗어나 대구ㆍ부산 등 지역에서 확진자가 계속 발견되면서 지방에서 자가격리대상자들이 급증하고 있다. 보건당국은 현재시점에서 잠재적 대상자를 포함해 약 1만여명을 관리 대상으로 보고 있다.


이에 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지자체들은 보건소 직원 등으로 꾸려진 대책본부를 편성해 24시간 운영 중이다. 소속 공무원들은 휴일까지 반납한 채 연일 밤늦게까지 전화ㆍ방문 상담은 물론 의심자 검체 채취, 이송, 역학조사 등에 나서고 있다. 서울의 한 보건소 직원은 "출퇴근 시간이 따로 없이 상담 전화ㆍ의심자 진료ㆍ검사 등으로 눈 코 뜰 새 없다"며 "의심자 검체를 채취해 왕복 2시간 거리인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에 가서 검사하고 6시간 넘게 기다려 결과를 받아 오고 나면 진이 빠진다"고 했다.


사상 최악의 감염 확산 사태에 지자체 위주로 방역 대책이 실행되면서 현장의 혼란도 극심하다. 서울시 한 공무원은 "메르스와 관련해 구청ㆍ보건소ㆍ보건당국 등과 협조하기 위해 약 400여개의 매뉴얼이 필요한 데 그게 없어서 초기엔 혼란이 컸다"며 "이제 현장 경험과 실무 지식을 바탕으로 없던 매뉴얼들을 새로 만들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특히 일각에선 자가격리자수가 추가로 급증할 경우 감당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경고가 나오고 있다. 현재 1대1 자택격리자 관리, 각종 지원 대책 실행 등 메르스 관련 업무에 투입된 공무원들은 전국에 걸쳐 10만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산술적으로 감염 확산을 막는 최선의 방책인 1대1 전담 관리제를 유지하려면 접촉ㆍ이송ㆍ각종 지원ㆍ바깥 출입 통제 등을 위해 지자체ㆍ보건소ㆍ경찰 등 자가격리자 1인당 여러명의 공무원이 달라 붙어야 한다.


이에 대해 국민안전처 관계자는 "현재 자가 격리자를 관리하는 데 전혀 지장이 없고 격리 해제자도 늘고 있어 걱정할 일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15일 대구에서 50대 공무원이 증세가 나타난 후에도 상당기간 사우나ㆍ직장 등을 오간 것으로 확인되는 등 지방을 중심으로 확산세가 계속되고 있어 장담할 수 만은 없는 상황이다. 한 공무원은 "외국인이나 노숙자 등으로 관리영역을 넓힐 경우 감당이 쉽지 않을 것 같다"고 우려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