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무협, “인프라 건설 참여 등 인도네시아 시장 공략 필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8초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인도네시아의 비즈니스 환경이 개선됨에 따라 신흥 전략시장에 맞는 진출 공략을 세워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9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내놓은 ‘인도네시아 경제 전망과 투자 여건’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2010년 후 글로벌 저성장세 속에서도 5~6%의 꾸준한 경제 성장률을 유지했다.

세계 4위 규모의 인구 대국으로 전체 인구의 66%가 생산가능 인구이며 61%가 35세 미만의 젊은층이다. 도시화율은 2014년 53.0%에서 2050년 72.1%까지 확대될 전망이고 중산층도 빠르게 성장하는 추세로 유망한 생산기지 및 소비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더욱이 인도네시아 정부는 외국인 투자를 기반으로 한 인프라 건설을 확대하고 있다. 이를 위해 투자승인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 친기업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2014년 기준 우리의 9위 수출대상국으로 수출액은 총 113.6억달러를 기록했다. 인도네시아 입장에서 우리는 중국, 싱가포르, 일본에 이은 4위 수입대상국으로 인도네시아 수입시장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의 인도네시아 수출 대부분은 자본재로 구성돼 있지만 2012년부터는 소비재의 비중이 점점 늘고 있다.


유승진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원은 “앞으로 확대될 인프라 프로젝트에 참여해 다양한 기회를 발굴하고 양질의 노동력을 갖춘 인도네시아에 생산기지를 설립해 현지 소비시장은 물론 아세안 시장 진출 확대를 도모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다만 인도네시아는 다소 보호주의적인 성향을 지녀 우리의 일방적인 이익만을 주장하기보다는 상호 발전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